대형마트, 점점 백화점 닮아가네

대형마트, 점점 백화점 닮아가네

입력 2010-09-07 00:00
업데이트 2010-09-07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마트, 패션전문점 오픈·홈플러스, 해외명품 직수입…

‘대형마트들이 점점 백화점을 닮아가고 있다.’

대형마트의 고유 영역을 과감히 탈피하며 백화점에서만 볼 수 있는 브랜드와 명품들을 취급하는가 하면, 백화점과 같은 지역에 입점해 백화점 고객을 공유하려 애쓰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이마트는 8일 개장하는 129호점 성남점 2층에 신세계백화점에서 운영하고 있는 4628㎡ 규모의 패션 전문점 ‘스타일 마켓’ 1호점을 연다.

이마트 안에 백화점 인기 브랜드 42개를 입점시켜 패션 부문을 보완하고, 대형마트 특성을 살려 ‘가족 중심 패션’ 컨셉트로 운영해 간다는 게 이마트의 구상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앞으로 인구 30만명 이상 도시나 패션 소비 수준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스타일 마켓 신규 점포를 개장할 계획이다. 이마트 기존 점포를 리뉴얼해 스타일 마켓을 열거나 중소도시의 소규모 백화점에 입점하는 방안, 독립 점포를 내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정건희 신세계백화점 MD기획팀 수석부장은 “대형마트에 백화점 패션매장이 들어서는 것은 국내외에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스타일 마켓의 컨셉트를 지키면서 지역상권에도 적합한 다양한 모델을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홈플러스도 지난달 잠실점 3층에 해외 명품 브랜드를 직수입해 판매하는 99㎡ 규모의 ‘오르루체 명품관’ 개장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전국 10곳 이상에 명품관을 열 계획이다. 잠실점의 경우 프라다, 샤넬, 구찌, 셀린느, 페라가모 등 17개 브랜드 가방 60여점 등 300여종을 판매하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이 상품들이 시중백화점 판매 상품과 동일하고 백화점과 동일한 애프터서비스와 보증서를 제공한다고 강조한다.

롯데마트는 롯데백화점과 같은 지역에 입점해 소비자를 공유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20일 서울 전농동 청량리민자역사에 롯데백화점과 함께 입점한 데 이어, 지난달 신관을 개장한 롯데백화점 부산 광복점에도 2014년에 입점할 예정이다.

백화점과 마트 등이 동시 입점하면 마트의 이미지 제고에도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소비자 집객을 위한 시너지 효과 또한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업체의 생각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9-07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