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서 50대 약진…고용률 사상 최고

고용시장서 50대 약진…고용률 사상 최고

입력 2010-08-16 00:00
업데이트 2010-08-16 0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화 과정에서 경제 위기까지 겪으면서 50대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분기 기준으로 처음 20%를 넘었다.

 특히 50대 고용률은 역대 최고인 72%대까지 오르며 21년 만에 30대를 추월하면서 고용시장의 주력 연령층이 ‘3040’에서 ‘4050’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면 취업자 가운데 20대 비중은 15%대까지,20대 고용률은 59% 선까지 추락했다.

 ◇경제위기과정서 50대만 고용률 상승…21년만에 30대 추월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50대 고용률은 72.2%로 30대의 72.1%보다 0.1%포인트 높았다.50대 고용률이 30대를 앞지른 것은 고용통계를 구직기간 4주 기준으로 작성한 1999년 이후 처음이다.구직기간 1주 기준으로 따져보면 1989년 3분기(50대 74.9%,30대 74.8%) 이후 근 21년 만이다.

 10년 전 외환위기의 상처가 남아 있던 2000년 2분기(50대 67.7%,30대 72.9%)에 비해 50대가 4.5%포인트나 올랐지만,30대는 0.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특히 50대의 고용률 상승은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뚜렷해졌다.

 경제위기 직전인 2008년 2분기(50대 71.7%,30대 73.6%) 대비로는 50대가 0.5%포인트 상승한 반면 30대는 1.5%포인트 떨어졌다.

 20대는 2008년 2분기 59.6%에서 지난 2분기 59.1%로 0.5%포인트,40대는 78.9%에서 78.5%로 0.4%포인트,60세 이상도 38.9%에서 38.4%로 0.5%포인트가 각각 하락했다.

 이런 변화는 위기를 겪으면서 50대 고용만 약진했다는 의미다.특히 고용률은 해당 연령대 인구 대비 취업자 숫자를 뜻하는 만큼 인구 구조의 변화와 큰 관계가 없다.

 정부 관계자는 “경제위기 과정에서 50~60대의 참여 비중이 높았던 희망근로사업이나 노인 일자리사업이 시행된데다 잡셰어링(일자리 나누기) 정책에 초점이 맞춰진 영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잡셰어링은 신규 채용 시장을 얼어붙게 하고 이미 일자리를 가진 고용시장의 기득권층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분기 기준으로 30대와 50대 간 고용률 격차는 30대가 2000년에 5.2%포인트 높았고 2007년까지도 4%포인트 안팎씩 높았지만 2008년 1.9%포인트,2009년 0.6%포인트 차이로 점차 줄어든 데 이어 올해는 50대가 앞섰다는 점에서 추세성이 주목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50대 고용률 상승이 추세인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추세가 될 경우 그동안 40대-30대-50대-20대-60세이상 순으로 굳어진 연령별 고용률 순위가 40대-50대-30대-20대-60세이상 순으로 바뀌게 된다.고용시장의 연령별 무게 중심이 ‘3040’에서 ‘4050’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취업자 중 50대 점유율 사상 첫 20% 돌파

 50대는 고용률뿐 아니라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급상승하고 있다.

 2분기에는 50대가 20.04% 비중을 차지하면서 분기 기준으로 사상 처음으로 20% 선을 돌파했다.10년 전인 2000년 2분기의 13.81%보다 6.23%포인트,경제위기 직전인 2008년 2분기의 18.20%보다 1.84%포인트가 각각 상승한 것이다.

 10년 전과 비교한 상승폭은 50대가 가장 컸다.40대(24.82→27.34%)의 2.52%포인트,60세 이상(9.71→12.03%)의 2.32%포인트에 비해 배가 넘었다.반면 같은 기간 20대(21.08→15.62%) 비중은 5.46%포인트,30대(28.92→24.20%)는 4.72%포인트가 각각 하락했다.

 2년 전과 비교해도 50대는 1.84%포인트 확대되면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이 기간에는 0.53%포인트 오른 60대(11.50→12.03%)와 50대만이 점유율이 높아졌을 뿐 나머지 연령층은 하락했다.30대(25.45→24.20%)가 1.25%포인트 떨어져 가장 낙폭이 컸고 20대(16.44→15.62%)가 0.82%포인트,40대(27.60→27.34%)가 0.26%포인트 떨어졌다.

 이런 50대의 점유율 상승은 인구 구조의 변화가 크게 작용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연령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이들의 현재 나이는 47~55세다.50대의 점유율은 이미 2007년 2분기부터 20대의 점유율을 앞지른 뒤 점차 격차를 벌려나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자에서 50대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상승하는 것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다”며 “이런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