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 파워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량 평준화·더운날씨 등 영향…80골 중 24골 교체 선수가 넣어

브라질월드컵의 두드러진 특징 하나는 교체돼 들어간 선수가 골을 뽑아내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왼쪽) AP 연합뉴스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왼쪽)
AP 연합뉴스
22일까지 열린 29경기에서 모두 80골이 쏟아졌는데 이 중 교체 선수가 골망을 흔든 것은 24골로 30%나 된다. 4년 전 남아공대회 64경기에서 나온 145골 가운데 교체 선수가 넣은 골은 23골로 16%에 그쳤다. 가나와의 조별리그 G조 2차전을 지휘하던 독일대표팀의 요하임 뢰브 감독은 1-2로 뒤지던 후반 24분 미로슬라프 클로제를 투입했다. 클로제가 개인 통산 월드컵 최다 득점에 도전하고 있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포르투갈과의 1차전에 내보내지 않았던 뢰브 감독은 그가 들어간 지 2분 만에 동점골을 넣는 순간 내심 쾌재를 불렀을 것이다. 마르코 우레냐(코스타리카)는 지난 15일 우루과이전 후반 38분에 투입돼 1분 만에 3-1 승리를 완성해 호르헤 루이스 핀토 감독을 기쁘게 했다. 아드미르 메메디(스위스)는 다음날 에콰도르전 후반 30분 투입됐는데 첫 번째 공을 접촉한 것이 동점골로 연결, 2-1 승리의 발판을 깔았다. 지난 18일 한국을 상대로 동점골을 뽑아낸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러시아) 역시 후반 교체돼 그라운드에 들어갔다.

왜 이번 대회 ‘교체 카드’가 높은 적중률을 보일까. 전문지 ‘포포투’의 조너선 파두그바는 우선 여러 팀들의 스쿼드가 두꺼워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벨기에나 독일 벤치에 앉아 있는 선수들의 면면은 화려하기 그지없어 벤치 멤버라 부르기가 민망할 정도다. 전력 분석 기법이 다양해지고 갈수록 세밀해지는 점도 영향을 미친다. 축구가 세계화돼 아무리 거리가 먼 나라에서도 데이터를 뽑고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고, 리그에서 함께 뛰어 장단점을 파악하고 있는 선수들을 한둘은 거느리고 있기 마련이다. 여기에 개최지가 덥고 습한 데다 이동 거리가 멀어 선수들이 후반 집중력을 잃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4-06-23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