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미추홀] 개념·감동·역사의식 어디로…3無 개회식

[여기는 미추홀] 개념·감동·역사의식 어디로…3無 개회식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대가 컸기에 실망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한국 영화계의 거장 임권택 감독과 그의 후계자로 부족함이 없는 장진 감독이 함께 준비한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개회식에 대한 기대는 어느 대회보다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45억 아시아인들에게 내세울 만큼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가 없다고 생각했다면 현재의 문화적 자산인 한류를 내세운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

하지만 메시지는 모호했고 전달 방식 또한 추상적이었다. 그 결과 장동건으로 시작해 이영애로 끝난 개회식은 아시안게임과 큰 상관이 없는 한류 스타들만 기억에 남았다는 비아냥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외국 손님들을 손꼽아 기다리는 마음을 담은 인천시민들의 청사초롱 퍼포먼스 중간에 박근혜 대통령의 뜬금없는 등장은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로 민망했다. 누가 기획한 ‘등장 이벤트’인지는 몰라도 결과적으로 인천시민들의 노력을 모독하는 것이었다.

개회식 공연에서 무엇보다 실망스러웠던 건 모호한 역사 의식이었다. 근대 인천을 소개하는 장면에서 경인선이 한국 최초의 철도임을 자랑했다. 그런데 이 철로가 일제의 식민지 수탈을 위해 깔렸고 철도 건설 또한 불평등한 외자 유치 사업으로 이후 대한제국에 막대한 빚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은 공연에서 읽어낼 수 없었다.

인천의 자랑으로 내민 다른 하나는 근대식 우체국이라고 할 수 있는 우정총국의 유일한 지국이 인천에 설치됐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당시 우정총국과 인천지국은 일반인들의 편지를 전하는 기능보다는 수탈당한 대한제국의 상황을 본국에 전하는 외국 공사관들의 메신저 역할에 지나지 않았다. 이 두 가지를 과연 자랑이라고 내세웠어야 했던 것일까.

무엇보다 1884년 11월 문을 열었던 우정총국은 그해 12월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청나라에 의존하는 수구파를 몰아내려는 갑신정변을 시도한 무대로, 정변이 실패로 끝나면서 결국 20일 만에 문을 닫은 비극적인 역사를 품고 있다.

감동은 없었고, 개념도 없었다. 몰염치하기까지 했다. 도대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개회식이었을까.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9-22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