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야구 이제 그만 “타격 타이밍 찾아라”

느린야구 이제 그만 “타격 타이밍 찾아라”

입력 2010-11-17 00:00
업데이트 2010-11-1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中과 준결승… 금 사냥에 독 될수도

야구대표팀이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8년 만의 정상탈환을 위한 쾌속질주를 하고 있다. 한수 위의 실력을 자랑하며 3연승으로 준결승에 안착했다. 특히 타자들은 예선전에서 마치 프로 권투선수가 시합 전에 스파링 파트너와 몸을 풀듯 불방망이를 휘둘렀다. 하지만 오히려 이게 걱정이다. 시속 130㎞대의 느린 볼에 적응한 타격이 결승전에서 제대로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워서다.

조범현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16일 광저우 아오티구장에서 열린 B조 예선 세 번째 경기에서 장단 15안타를 터뜨리며 파키스탄을 17-0, 5회 콜드게임으로 꺾고 조 1위를 확정했다. 2번 타자로 나온 김현수(22·두산)가 4타점을 올리며 돌아온 타격감각을 자랑했고, 이대호(28·롯데)도 3안타 3타점을 기록했다. 마운드에서는 유일한 아마추어 김명성(22·중앙대)이 2와 3분의1이닝 동안 삼진 3개를 솎아내며 잘 막아냈다.

☞ [포토] 코리안號 ‘종합 2위 목표’ 순항중

그런데 대표팀의 승승장구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예선전 마지막 경기에서 만난 파키스탄은 물론 2경기 상대였던 홍콩도 구속이 느려 속칭 아리랑볼을 던졌기 때문. 느린 공을 치기 위해 타자들의 타격 타이밍도 자연스럽게 한 템포 늦어졌다. 여기에 한국의 준결승 상대는 중국이다. 3경기 연속 느린 공을 상대하고 나서 결승에서 일본이나 타이완 투수의 140~150㎞대의 공을 상대하면 타격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반면 준결승에서 맞붙는 일본과 타이완은 제대로 된 상대를 맞아 타격감각을 조율할 수 있다. 준결승 상대가 중국인 게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타격은 생각으로 치는 게 아니라 몸으로 치는 것이다. 타이밍을 근육 속에 새겨 넣어야 한다. 이는 자동변속기처럼 한번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시간이 걸린다. 타자들이 직접 빠른 공을 접해 봐야 타이밍 감각이 돌아온다. 초반에 투수들이 잘 버텨준다면 걱정이 없지만, 반대로 초반에 점수를 내준다면 경기가 꼬일 수밖에 없다.

한 야구 관계자도 “아무래도 타격 타이밍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선수뿐만 아니라 감독이나 코칭스태프도 이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결승전에서 타격 타이밍을 얼마나 빨리 잡아가느냐가 승부를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조 감독은 18일 준결승전 선발 투수로 양현종(22·KIA)을 낙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0-11-1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