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일 없습네다… 그러나 남·북은 한민족 한마음”

[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일 없습네다… 그러나 남·북은 한민족 한마음”

입력 2010-11-17 00:00
업데이트 2010-11-1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굴도 같고 말도 같은데 이렇게 어색할 수가 없다.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참가한 북한 선수단. 좀체 다가가기가 어렵다. 가끔 이것저것 말을 걸어 보면 대개 “일 없다.”는 대답이다. 아니면 퉁명스러운 표정으로 모른 척한다. 지레 민망해져 물러선다. 마음은 굴뚝같은데 멀리서 바라만 볼 수밖에 없다.

다들 비슷한 얘기를 했다. 이번 대회 들어 북한 선수단이 많이 냉랭해졌단다. 딱 10년 전, 남북한 선수단은 시드니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동시 입장했다. 이후 7년 동안 9차례 국제종합대회마다 함께 입장하는 모습을 보여 줬다.

그러나 2008년 베이징올림픽부터 따로 행진이 계속됐다. 이번 대회 들어 북한 선수단은 한국 취재진 질문에 거의 대답하지 않는다. 손 한번 흔들어 주는 서비스도 없다. 경기장에서 마주치는 선수들끼리도 어색하게 지나친다.

이기흥 한국 선수단장은 “대회 기간 북한과 공식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 게 방침”이라고 했다. 냉각된 남북 관계가 스포츠에까지 영향을 미친 걸까. 겉으로 보기엔 확실히 그렇다.

그런데 이면이 있다. 사람 사는 세상이다. 같은 말 쓰는 같은 민족이다. 더구나 편견 없고 나이 어린 젊은이들이 모인 자리다. 대화와 공감이 생기지 않을 리 없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남북한 선수단은 함께 즐거워하고, 화내고, 슬퍼하고 있었다. “대회 나갈 때마다 마주치는데 친하지 않을 리가 있나요. 남들 보는 곳에선 못 떠들어도 우리끼리 있으면 같이 잘 놀아요.”

한 여자 선수의 말이었다. 다른 선수도 비슷한 말을 했다. “선수촌 안이나 선수대기실처럼 다른 사람 눈이 없는 곳에선 장난도 치고 잘 지냅니다. 눈치 보여서 몰래몰래 얘기하는 편이지요.”

☞ [포토] 코리안號 ‘종합 2위 목표’ 순항중

남북한 선수들은 무슨 얘기를 나눌까. 보통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와 똑같았다. 남자 선수 여럿은 “어떤 여자 선수가 예쁜지 오늘 경기 끝나면 몰래 술이라도 한잔할지에 대해 얘기할 때가 많다.”고 했다. 여자 선수들도 마찬가지였다. “잘생긴 남자 얘기에, 오늘 식사 때 나왔던 디저트 얘기, 지독한 감독님 뒷담화를 주로 한다.”고 말했다. 결국 사람 사는 세상 이야기는 다들 비슷비슷하다.

그런데 공개된 곳에선 왜 그렇게 어색해할까. 남북한 양쪽 모두 비슷한 이유가 있었다. 북한 선수단은 보위부의 감시를 의식해야 한다. 남들 보는 곳에선 대화하기가 어렵다. 어떤 꼬투리가 잡힐지 장담할 수 없다. 남한 선수들도 다를 게 없다.

한 선수는 “북한 선수와 몇 마디만 해도 당장 어디선가 국정원 직원이 나타난다. 무슨 얘길 했는지, 주고받은 건 없는지 꼬치꼬치 물어대서 밖에선 북한 선수들을 모른 척 한다.”고 했다. 핏줄은 자연스레 서로 당기게 되어 있다. 그걸 막는 건 체제와 정치다.

nada@seoul.co.kr
2010-11-1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