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뭐든지 가능한 중국

[박창규 기자의 광저우 아침] 뭐든지 가능한 중국

입력 2010-11-12 00:00
업데이트 2010-11-12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짧은 기간 너무 많은 게 달라졌다.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중국 광저우. 여러 가지가 없어지고 생겨났다. 몇년 전 광저우에 들렀던 사람이라면 당황할 정도다.

우선 수십만대이던 오토바이가 사라져 버렸다. 불과 3~4년 전만 해도 길에 넘쳤다. 직접 몰기도 하고 대중교통 수단으로도 비중이 컸다. 돈 없고 직장 구하기 힘든 청년들은 손쉽게 중고 오토바이를 개조했다. 오토바이 뒤에 두 바퀴 달린 의자를 설치했다. 아니면 뒷자리에 그저 손님을 태웠다. 택시보다 조금 저렴하고 버스보다는 비쌌다. 그러나 둘보다 훨씬 빨랐다.

지금은 거리에 오토바이들이 없다. 변두리에서만 간혹 볼 수 있다. 감쪽같이 사라졌다. 그 많던 오토바이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아시안게임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3~4년 동안 오토바이를 비싼 가격에 사들였다. 시가보다 좋은 가격에 보상금까지 얹어줬다. 대회 가까워선 강제로 단속했다. 길 가던 운전자를 끌어내리는 수준이었다. 이유는 단순했다. 보기 싫다는 거였다. 광저우의 한 한국 교민은 “그 짧은 시간 동안 그렇게 많았던 오토바이가 다 없어진 게 신기하다.”고 했다.

낡은 건물도 없어졌다. 적어도 그렇게 보인다. 사실 불가능한 얘기다. 아무리 대규모 공사를 즐기는 중국이라도 도시에 있는 낡은 건물을 모두 없앨 수는 없다. 그런데 도로 가에 도통 허름한 건물이 보이질 않는다. 비밀은 ‘타일’에 있었다. 중국 정부는 외국인들에게 깨끗한 도시 모습을 보여주길 원했다. 그렇다고 낡은 건물을 다 부술 재간은 없었다. 그래서 도로 주변 모든 건물에 새 타일을 붙였다. 이것도 쉬운 작업은 아니다. 그래도 건물을 새로 올리는 것보다는 현실적이다. 정확하게 표현해보자. 지금 광저우 길가엔 오래돼 보이는 건물이 없다.

없던 것도 생겼다. 불과 1년 전까지 사람과 차량은 거리에서 습관처럼 얽히고설켰다. 사람이 도로를, 차량이 인도를 침입하는 건 대수였다. 대체로 경적이나 고함에 무던했다. 어느 정도의 혼란은 그저 즐겼다. 그러나 이제 차량과 사람이 좀체 섞이지 않는다. 차분히 줄 서는 것도 자연스러워졌다. 이게 1년 사이에 이뤄졌다. 지난 1년 동안 공안들이 미친 듯이 호루라기를 불어댄 결과다.

유학생 김모씨는 “노이로제 걸릴 정도로 불었다. 잠잘 때도 호루라기 소리가 귀에 맴돌 정도로 불었다.”고 했다. 짧은 시간에 없던 질서도 강제로 만들어냈다. 역시 아시안게임 때문이다. 누구 말마따나 중국에선 안 되는 게 없다. 웃고 넘기기엔 애매하다.

nada@seoul.co.kr
2010-11-12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