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스켈레톤 국제대회 첫 메달

女 스켈레톤 국제대회 첫 메달

입력 2014-11-26 00:00
업데이트 2014-11-26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라영, 북아메리카컵 3차 대회 6위

문라영(18·삼육대)이 국내 여자 스켈레톤 선수 최초로 국제대회 메달을 목에 걸었다.

문라영은 지난 23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끝난 2014~15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FIBT) 북아메리카컵 3차 대회에서 6위에 올랐다고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이 뒤늦게 25일 밝혔다. 이 대회에서는 6위까지 메달을 수여한다. 1차 시기에 59초70으로 전체 7위에 오른 문라영은 2차 시기에 전체 4위인 59초45로 성적을 끌어올려 합계 1분59초15를 작성, 한국 여자 스켈레톤 선수 최초로 메달권에 진입했다.

문라영은 이어진 아메리카컵 4차 대회에서는 1차 시기에 전체 1위 기록인 59초90을 작성하는 ‘깜짝 활약’을 펼쳤으나 2차 시기에 실수를 저질렀다. 전체 8위(1분01초29)에서 나중에 7위로 정정됐지만 아깝게 2연속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스켈레톤 대표팀의 조인호 감독은 “짧은 경력에도 불구하고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도 메달을 딸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한편 금녀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남자 봅슬레이 4인승에서는 첫 여성 메달리스트들이 탄생했다.

FIBT는 지난 9월 이 종목에 여성이 출전하는 것을 허용했는데 카일리 험프리스(29·캐나다)는 25일 캘거리에서 이어진 북아메리카컵 두 차례 레이스에 출전해 파일럿을 맡아 남자 동료 셋과 함께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엘라나 메이어스-테일러(미국) 역시 남성 동료들과 함께 동메달을 땄다.

임병선 전문기자 bsnim@seoul.co.kr
2014-11-2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