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승부조작 파문 일파만파…K리그 신뢰·흥행 ‘와르르’

프로축구 승부조작 파문 일파만파…K리그 신뢰·흥행 ‘와르르’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믿음이 무너졌다. 소문으로만 여겨지던 선수들이 연루된 승부조작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프로축구 K리그가 심각한 위기를 맞았다. 올 시즌 프로축구연맹은 관중 350만명 동원을 목표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흥행이 아니라 리그 및 대회의 존폐 문제까지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스포츠의 본질인 순수성, 그 근간을 뒤흔드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모든 경기, 모든 선수가 의심의 눈초리를 받게 됐다. 그야말로 ‘만인의 만인에 대한 의심’이 프로축구 무대를 지배하게 됐다. 동료 사이에도 마찬가지다. 승부조작의 물증을 잡기가 어렵다 보니, 경기 중 서로의 작은 실수에 대해서도 고개를 갸웃거리지 않을 수 없다. 불신이 쌓이면 팀워크는 무너진다.

한준희 KBS 축구해설위원은 “이번 사태로 페널티 지역 안에서 한 선수가 실수했을 때 다른 동료가 해당 선수를 의심하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면서 “신뢰가 붕괴되면 경기력이 저하되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믿을 수 없는 동료에게 도움을 줄 선수는 없다.

이런 상황이니 팬과 서포터스는 오죽할까. 선수의 실수를 감싸고 힘을 북돋우는 응원의 목소리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한 시민구단 서포터스 대표는 “이제 경기장에서 응원하는 게 아니라 선수들을 감시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면서 “선수와 선수 사이는 물론 감독과 선수, 구단과 팬의 믿음이 한순간 무너졌다.”고 말했다.

K리그 16개 구단은 공황상태다. 사건에 연루된 광주FC와 대전 시티즌은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검찰 조사 상황을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현재 김동현이 뛰는 상주는 “상주로 연고를 옮기기 전인 광주 시절에 있었던 일”이라고 밝혔다. 또 선수들을 불러 모아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는 등 팀 내부 단속에 분주한 모습이다.

현재까지 이름이 오르내리지 않은 구단도 다를 바 없다. 각 구단 관계자들은 의구심이 생길 만한 플레이가 많았던 경기 영상을 돌려 보며 분석하는 한편 선수 면담 등을 실시하며 사건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K리그를 총괄하는 프로축구연맹은 말 그대로 초상집이다. 정몽규 새 총재의 취임과 함께 제2의 중흥을 꿈꿨지만, 주춧돌이 흔들리는 상황을 맞은 것. 물론 이번 사건에 연루된 구단들이 비교적 재정상태가 열악한 시민구단들이라 프로축구의 흥행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프로축구 전반에 대한 팬들의 믿음과 사랑이 식을 수밖에 없고, 경기장을 찾는 발길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문제는 연맹 차원에서 나름대로 대비를 했음에도 막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연맹은 지난해부터 승부조작 방지를 위해 선수 및 구단 직원을 교육하고, 연루 사실이 적발되면 최소 5000만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동시에 영구 제명하는 고강도의 처벌 및 징계규칙을 정했다. 경기가 있는 곳마다 선수들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을 금지하는 경고도 계속해 왔다. 그런데도 우려했던 일이 터져 버렸다.

연맹 관계자는 “의혹이 완벽히 풀리고, 확실한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실행되지 않는 한 관중이 늘어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면서 “승부는 스포츠의 본질 가운데 하나다. 조작된 승부가 보고 싶어 경기장을 찾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5-27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