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지친 투수진·조급한 타선… 두산 5월 악몽

[프로야구] 지친 투수진·조급한 타선… 두산 5월 악몽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펜 올 시즌 144이닝 던져 과부하 계속…우승부담에 타격 되레 꼬여 영봉패만 7번

최악의 5월이다. 프로야구 두산. 안 풀려도 너무 안 풀린다. 시즌 시작 전까지만 해도 SK를 위협할 우승 후보였다. 8개 구단 가운데 가장 돋보인 스토브리그를 보냈다. 선발진이 단단해졌고 타격은 여전했다. 이제 우승할 때가 됐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였다. 개막 뒤 4월 한 달은 괜찮았다. 그런데 이달 들어 4승 12패. 현재 순위 6위다. 사실 성적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할 수 있다. 문제는 당장 눈앞의 순위가 아니다. 드러난 수치보다 근원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뿌리가 깊고도 복잡하다.

이미지 확대
프로야구 한화 류현진이 20일 전북 군산구장에서 KIA와의 경기를 마치고 밝은 표정으로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선발등판한 류현진은 8이닝 동안 안타와 볼넷을 각각 1개만 내주며 무실점으로 역투해 팀의 5-0 승리를 도왔다. 군산 박성일기자 sungil@sportsseoul.com
프로야구 한화 류현진이 20일 전북 군산구장에서 KIA와의 경기를 마치고 밝은 표정으로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선발등판한 류현진은 8이닝 동안 안타와 볼넷을 각각 1개만 내주며 무실점으로 역투해 팀의 5-0 승리를 도왔다.
군산 박성일기자 sungil@sportsseoul.com


●불펜·선발 모두 흔들린다

1·2년 쌓인 문제가 아니다. 최근 몇년 동안 두산 불펜은 심각한 과부하에 시달려 왔다. 문제는 선발진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8년부터 두산 선발진은 대체로 제 몫을 못해 냈다. 숫자가 증명한다. 2008시즌 두산 선발진이 책임진 이닝은 635이닝이었다. 전체 8위. 2009시즌엔 630.1이닝을 소화했다. 전체 7위였다. 히메네즈가 가세한 지난 시즌에는 조금 사정이 나아졌다. 선발진이 672이닝 던졌고 8개 구단 가운데 5위였다. 그러나 이 부문 1위 롯데(769.2이닝)와 비교하면 100이닝 가까이 덜 던졌다.

딱 그만큼 두산 불펜의 이닝 부담은 커졌다. 두산 불펜진은 지난 2년 연속 500이닝 이상을 책임졌다. 2008년엔 499이닝을 던졌다. 특히 2009시즌엔 556이닝을 투구해 8개팀 불펜진 가운데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했다. 불펜의 핵 고창성은 2009시즌 64경기에서 74이닝. 2010시즌엔 73경기에 나서 82이닝을 던졌다. 정재훈도 지난 시즌 63경기에서 78이닝을 소화했다. 과부하가 생기지 않으면 이상한 수치다.

올 시즌에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재 두산 불펜진은 144이닝을 던져 8개팀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이닝을 소화하고 있다. 이러면 시즌 후반으로 가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선발진은 김선우-니퍼트 말고는 믿을 투수가 없고 마무리 임태훈도 2군에 있다. 투수진 전체가 무너질 수도 있다.

●“기술 완벽… 심리적 문제 커”

사실 5월 연패는 타격에서부터 시작됐다. 이달 들어 타율 .245다. 영봉패만 7번 당했다. 안 맞아도 너무 안 맞는다. 타격의 팀 두산답지 않은 행보다. 특타도 하고 머리도 깎아 봤지만 실마리가 풀리질 않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졌을까.

신경식 타격코치는 “기술적으로는 완벽하다. 심리적인 문제가 더 크다.”고 했다. 그는 “한번 경기가 꼬이기 시작하면서 타선 전체가 조급해졌다. 스스로 해결하려고 크게 휘두르고, 결과가 나쁘니 다시 위축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게 정답이다. 어찌 보면 타선뿐만 아니라 두산 선수단 전체 분위기가 이렇다. 조급하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하다.

이유가 있다. 두산은 최근 4시즌 동안 우승 근처에 머물렀다. 한 걸음 또는 두 걸음 모자랐다. 김경문 감독은 한 팀에서 7시즌 동안 사령탑에 있으면서 우승을 못해낸 유일한 감독이다.

구단은 올 시즌 전 이례적으로 과감한 투자를 했다. 우승이 아니면 안 된다는 분위기가 구단 전체에 팽배했다. 선수들도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겨야 하고 그것도 압도적으로 이겨야 한다는 긴장감이 흘렀다. 팀이 잘나갈 때는 이런 긴장감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번 꼬이기 시작하자 독이 됐다.

이제 타격은 물론 수비에까지 문제가 생기고 있다. 5월 들어 두산은 실책 13개를 저질렀다. 신 코치는 “선수들이 부담을 가지고 경기에 나서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했다. 문제가 점점 복잡하게 꼬여 가고 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5-21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