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심장만 살아남는다

강심장만 살아남는다

입력 2011-05-20 00:00
업데이트 2011-05-20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격 확 바뀐 규정… 실시간 순위 안내·관중 인사 필수



‘강심장만 살아남는다.’

사격은 고도의 정신 집중을 요구하는 스포츠다. 한 발, 한 발에 희비가 엇갈린다. 탄환이 표적지의 중심에서 깻잎 두께만큼만 멀어져도 순위가 뒤바뀐다. 심장이 철렁 내려앉는 상황. 하지만 마지막 한 발까지 마음이 흔들려선 안 된다. 격발을 앞두고 욕심이 고개를 들면 어김없이 탄환은 표적지의 중심을 벗어난다. 사격 선수 대부분은 ‘욕심=실수’의 공식이 야속할 정도로 정확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래서 경기 중 자신의 성적을 확인하지 않는다.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 50m 권총에서 금메달을 땄던 진종오(32·KT)가 마지막 격발을 마친 후 뒤에서 경기를 지켜보던 코치를 향해 돌아서서 ‘내가 1등이냐.’ 하는 동작을 취한 이유다.

●관중에겐 흥미 선수들에겐 부담

하지만 올해부터는 이런 모습을 못 보게 됐다. 국제사격연맹(ISSF)의 결선 규칙이 관중에게는 흥미진진하게, 선수들에게는 고약하게 개정됐기 때문이다.

우선 사선에 들어선 선수들은 시사(연습 사격)를 마친 뒤 의무적으로 관중을 향해 인사해야 한다. 전에는 장내 아나운서의 선수 소개가 이어져도 총구를 표적에 겨눈 채 고개만 살짝 돌리거나, 아예 미동도 않는 경우가 많았다. 관중은 선수 얼굴 한 번 더 보니까 좋지만, 선수들은 감각을 유지하기 힘들어진 것이다.

또 1발(종목에 따라 5발) 사격을 마칠 때마다 점수만 불러주던 장내 중계도 선두를 달리는 선수의 이름과 최고 점수 및 순위의 변동까지 발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일 창원사격장에서 벌어진 제4회 한화회장배 전국사격대회 이틀째 여자 25m 권총이 이런 식으로 진행됐다. 관중은 재밌지만 평정심을 유지해야 하는 선수들은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이다. 그래도 이건 귓구멍을 막으면 된다.

●선수 심리적 경기력 더 중요해져

그런데 개정된 규칙은 사선 전방에 선수들의 현재 순위를 보여주는 모니터까지 설치하도록 했다. 눈을 감고 총을 쏠 수는 없는 노릇. 평정심 유지가 경기 결과를 좌우하는 제일 중요한 요소로 급부상했다.

창원에 모인 선수들은 하나같이 “간 큰 사람이 이긴다.”고 했다. 대한사격연맹 관계자는 “사격의 대중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라면서 “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력이 더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창원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5-20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