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올림픽 위한 최상의 계획 있다”

“평창, 올림픽 위한 최상의 계획 있다”

입력 2011-05-19 00:00
업데이트 2011-05-19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연아 유창한 영어로 첫 PT ‘박수’…日·노르웨이 위원 “큰 진전” 극찬

“평창은 올림픽 패밀리를 위한 최상의 계획을 갖고 있다.”

이미지 확대
18일 스위스 로잔의 올림픽박물관에서 열린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 도시 브리핑에서 평창 유치단이 단상에 앉아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건희 IOC위원, 문대성 IOC 선수위원, 피겨스타 김연아, 조양호 유치위원장, 나승연 대변인,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이병남 평가준비처장,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평창유치위 제공
18일 스위스 로잔의 올림픽박물관에서 열린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 도시 브리핑에서 평창 유치단이 단상에 앉아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건희 IOC위원, 문대성 IOC 선수위원, 피겨스타 김연아, 조양호 유치위원장, 나승연 대변인,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이병남 평가준비처장,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평창유치위 제공


‘피겨퀸’ 김연아가 18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 도시 ‘테크니컬 브리핑’ 첫날 프레젠테이션(PT)에 프레젠터로 참석,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들을 대상으로 강원 평창 지지를 호소했다.

김연아는 “나는 대한민국 정부의 동계스포츠 선수 육성 프로그램인 ‘드라이브 더 드림’의 혜택을 받아 오늘에 이르렀다.”면서 “2018년 평창이 선수 중심의 가장 콤팩트하고 효율적인 경기장 배치, 선수와 올림픽·패럴림픽 패밀리를 위한 최상의 경기계획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IOC 위원들을 상대로 처음 PT를 펼친 김연아는 유창한 영어로 동계올림픽에 대한 자신의 꿈을 전달, 큰 박수를 받았다. 김연아는 브리핑이 끝난 뒤 외국 주요 언론의 집중적인 인터뷰 요청을 받는 등 높은 인기를 누렸다.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에 이어 세 번째로 무대에 오른 평창은 조양호 유치위원장과 박용성 대한체육회(KOC) 회장,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김연아, 나승연 대변인, 이병남 평가준비처장 등 6명이 브리핑 대표단으로 참석했다.

후보도시 브리핑은 45분간의 PT와 45분 동안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IOC 위원들의 질문이 9개밖에 나오지 않아 예정시간보다 20여분 일찍 끝났다. 앞서 뮌헨은 7개의 질문을 받았고 안시는 11개의 질문에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브리핑을 마친 조양호 유치위원장은 “아시아에서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을 열겠다는 평창의 명분과 당위성을 충실하게 전달했다.”고 자평했다.

평창이 45분간의 PT를 마치자 게하르트 하이베리(노르웨이) IOC 위원과 이가야 지하루(일본) 위원 등은 “평창이 앞선 두 번의 유치 신청 때보다 엄청난 진전을 이뤘다.”며 높은 평가를 했다고 대표단이 전했다.

정부 대표로 PT를 펼친 김성환 장관은 “우려했던 것처럼 까다로운 질문이 없었다. 대다수 위원들이 아주 우호적이었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김 장관은 PT에서 “동계올림픽 유치가 대한민국 정부의 최우선 국가 과제”라면서 “동계종목 육성을 위해 2012~18년 모두 510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영상을 통해 국가 어젠다인 2018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제시한 모든 사항에 대해 완벽한 정부 보증을 약속했다.

이건희 IOC 위원도 평창의 유치활동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은 브리핑에 앞서 “평창의 분위기가 어떠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힘들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별히 만날 IOC 위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을 만났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전날 본부호텔인 로잔팰리스 호텔에서 동료 위원들을 접촉하며 지지를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위원은 또 PT 준비상황에 대해선 “늘 그렇듯이 (평창이) 준비를 잘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뮌헨, 안시 등과 함께 후보도시로 선정된 평창은 최대 승부처인 이번 로잔 브리핑을 끝으로 공식 유치 행사를 마무리 짓고 오는 7월 6일 남아공 더반에서 열리는 개최지 투표를 기다리게 됐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1-05-19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