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이어 정구도 승부조작

쇼트트랙 이어 정구도 승부조작

입력 2011-02-25 00:00
업데이트 2011-02-25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엔 정구인가’광주 모 여고 정구팀에서 승부 조작 의혹이 불거지면서 학교 체육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온 승부 조작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25일 광주시체육회 등에 따르면 이 여고 정구팀 감독과 코치가 대회 상금과 계약금 일부를 유용하고 승부 조작 등 불법을 저질렀다는 내용의 진정서가 접수돼 체육회와 광주시 교육청이 진상 파악 중이다.

 이 여고 정구부 1,2학년 선수와 학부모 이름으로 된 진정서에는 A 감독과 B 코치가 상금과 실업팀 진출에 따른 계약금 일부를 부당하게 빼돌렸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지난해 4월 광주에서 열린 전국 정구대회에서 특정 선수의 성적을 높이려고 B 코치가 학부모와 짜고 승부를 조작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일단 해당 코치는 “3학년 학생들의 실업팀 진출 등을 위해 주로 고학년 위주로 선발 배치한 것이지 승부조작은 오해다”면서 관련 주장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계약금 일부 착복 주장에 대해서도 “계약금의 일부를 학부모로부터 사례비로 받은 적은 있지만,착복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해당 학교와 교육청도 양측의 주장이 엇갈린 상황에서 사실 관계가 명확히 드러나기 전까지 불법 행위가 있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학교 체육에서 잊을 만하면 승부조작 의혹이 불거지는 데 대해 이를 구조적으로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광주야구협회 소속 심판이 “전국대회 8강에 들어가야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에 2009~2010년 광주에서 열린 전국야구대회에서 심판들이 200만-400만원을 받고 승부 조작을 했다”고 폭로해 시 체육회가 진상조사를 벌여 협회 소속 간부 10명의 자격을 박탈한 바 있다.

 또 같은 해 9월에는 고교축구 클럽 대회에서 광양제철고와 포철공고가 승부를 조작한 것이 들통났고 대한축구협회는 해당 고교 감독에게 중징계를 내렸다.

 전남대 체육교육과 백종수 교수는 “아마추어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 지나치게 나타나는 것이 문제일 수 있다”면서 “지도자의 도덕적 자질도 중요하지만,기량이 조금 모자라는 선수들에 대한 배려와 관심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고교 체육의 경우 상급 학교 진학이 최대 관건일 수 있는데 몇위 내,몇강 안에 들어야 대학에 간다고 한다는 것 때문에 부정이 생긴다”면서 “승부 조작 등을 막으려면 체육 특기자에 대해서도 입학사정관제를 도입,자질이 있는 학생들을 키워주는 제도적 장치도 고려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