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야구유학 떠난 전준호 SK코치 “선수 마음 살 수 있는 지도자가 꿈”

美 야구유학 떠난 전준호 SK코치 “선수 마음 살 수 있는 지도자가 꿈”

입력 2011-02-25 00:00
업데이트 2011-02-2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단지원도 없고 확실한 계획도 없지만 마이너리그 코치 1차목표”

사직 구장 관중들은 프로야구 롯데 선수가 아닌 원정팀 선수에게 환호하고 있었다. 3만 관중이 모두 일어섰다. 손 흔들고 이름을 연호했다. 박수가 계속돼 경기가 잠시 중단됐다. 베이스에 홀로 선 선수는 고개를 숙였다. 운동장을 울리는 진동이 가슴을 쓸고 지나갔다. 울컥했지만 참았다. “눈물 흘리면 부끄러울 거 같아서요….” 그래서 한참 고개를 못 들었다. 조금 시간이 지난 뒤에야 헬멧을 벗어 인사했다. 얼굴에 미소가 번졌다. 지난 2009년 9월, 당시 히어로즈 선수였던 전준호가 통산 2000안타 대기록을 세우는 순간이다.

이미지 확대
전준호 SK코치
전준호 SK코치
SK 주루코치 전준호. 24일 미국 샌디에이고로 떠났다. 선수 시절 550도루(통산 1위). 2018안타(통산 2위)를 기록했던 전 코치다. 지난해 SK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안정적인 자리와 경력을 두고 일단 떠난다고 했다. “미국 야구를 꼭 배우고 싶어서요. 지금이 아니면 못 갈 것 같기도 하고….” 전 코치가 말을 흐렸다.

고생할 게 뻔한 유학길이다. 구단 지원도, 확실한 계획도 없다. 샌디에이고는 왕복 항공료와 스프링캠프 숙식만 제공한다. SK에는 도와달란 말을 못했다. “현재 확정된 건 스프링캠프 참가 일정뿐입니다. 마이너리그 코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쉽지는 않을 겁니다.” 이후 스케줄은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다.

●안정된 생활 버리고 고생길 자처

자비를 들여 공부해야 하고 보장된 자리도 없는 상황이다. 그래도 간다. “가족들이 반대를 많이 했어요. 고민이 됐지만 미국에선 어떻게 시즌을 준비하는지, 어떤 시각으로 야구를 풀어가는지 꼭 보고 싶었어요.” 이유는 단지 ‘야구’였다. 그래서 무모해 보여도 떠난다.

전 코치는 선수 시절 화려했다. 우승 경험만 6번이다. 최고령 2000경기-2000안타 기록을 갖고 있다. 선수 생활 19년 가운데 18시즌 동안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다.

그런 전 코치가 선수 생활 동안 가장 소중했던 기억으로 꼽은 건 사직에서 2000안타 기록을 세운 순간이었다. 인천공항에서 미국으로 떠나기 직전, 전 코치는 그 순간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고 했다. “지금, 야구 인생의 한장을 넘기는 시점이라 그럴까요. 당시 생각이 많이 나네요.”

그리고 또 마음에 걸린 건 SK 김성근 감독이었다. 김 감독은 지난해 은퇴해 갈 곳 없던 전 코치에게 손을 내밀었다. “우리 팀 주루가 약하니 도와달라.”고 했다.

2010년 포스트 시즌 때는 전력 분석 임무를 맡겼다. “지난 1년 동안 감독님께 많은 걸 배웠습니다. 그동안 몰랐던 야구의 미세한 여러 부분을 볼 수 있었고요.” 전 코치는 김 감독에게 감사하다고 했다. “오래 못 도와드리고 훌쩍 떠나게 돼서 죄송한 마음이에요. 돌아오면 꼭 SK로 복귀했으면 좋겠습니다.” 미안함과 감사함 그리고 회상이 뒤섞였다. 전 코치가 한국을 떠나는 풍경은 이런 모습이었다.

●“돌아오면 SK로 복귀하고파”

전 코치는 현재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목표를 찾아 떠났다. 마음 속에 품고 있는 꿈이 크다.

“큰 무대에서 많이 보고 많이 배울 겁니다. 미국 시스템을 속속들이 파악한 뒤 돌아오고 싶어요.” 그런 뒤 한국에서 그 모든 걸 풀어놓을 계획이다. “선수의 마음을 살 수 있는 지도자가 되고 싶습니다. 그때야 제 코치로서 첫 번째 시즌은 시작될 겁니다.” 출국장을 나서는 전 코치가 손을 흔들었다.

글 영종도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사진 영종도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2011-02-25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