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거리 2m’ 불충분…비말, 산들바람에도 5초에 6m 날아가”

“‘건강거리 2m’ 불충분…비말, 산들바람에도 5초에 6m 날아가”

입력 2020-05-20 10:15
업데이트 2020-05-20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키프로스 연구팀 “사회적 거리두기 2m, 충분치 않을 수 있어”

여름철 에어컨·선풍기 사용 때 각별한 주의 필요 시사
이미지 확대
바람 속도에 따른 침방울 구름 이동 모습. 니코시아대 Dimitris Drikakis 제공/연합뉴스
바람 속도에 따른 침방울 구름 이동 모습.
니코시아대 Dimitris Drikakis 제공/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한 충분한 ‘건강 거리’는 얼마일까?
기침 후 침방울이 퍼져나가는 모습. Physics of Fluids 논문 발췌/연합뉴스
기침 후 침방울이 퍼져나가는 모습.
Physics of Fluids 논문 발췌/연합뉴스
세계 각국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사람 간 전파를 막기 위해 2m 정도의 거리두기를 강조하지만, 공기에 섞여 움직이는 침방울의 유체 특성상 2m로는 충분치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키프로스 니코시아대 디미트리스 드리카키스 교수팀은 20일 미국 물리학협회(AIP)가 발간하는 학술지 ‘유체 물리학’(Physics of Fluids)에서 시속 4㎞의 약한 바람만 불어도 침방울이 5초에 6m를 날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2m가 충분히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기침할 때 침에 섞여 나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서 어떻게 확산하는지는 잘 연구돼 있지 않지만, 방역 당국은 침방울이 날아가는 거리를 2m 이내로 보고 사람 간에 2m 간격을 유지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공기 중에서 침방울의 움직임은 매우 복합해 예측하기 어렵다. 공기 중 침방울의 움직임에는 침방울 크기와 숫자, 침방울 간 상호작용, 침방울과 공기의 반응, 온도와 습도 영향, 바람 등 수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이런 수많은 요인을 변수로 반영, 기온 20℃, 상대습도 50%에서 침방울들의 상태와 움직임을 모사하는 컴퓨터 유체역학 모의실험을 했다.

그 결과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는 침방울이 날아가는 거리가 사회적 거리두기의 권고치인 2m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속 4㎞에서 15㎞의 다양한 바람 속도를 적용하자 침방울이 5초 안에 바람의 방향으로 최고 6m까지 날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의 속도에 따라 거리별 침방울 구름의 밀도와 높이도 달라졌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는 환경 조건을 고려할 때 2m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0 확산을 막기에) 충분치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여름철 실내 선풍기나 에어컨 사용, 클럽과 같은 밀폐된 시설 내 공조기 가동 등 공기 흐름을 유발하는 장치 가동 때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드리카키스 박사는 “침방울 구름은 키가 다른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키가 작은 어른이나 어린이는 침방울이 날아가는 궤적 안에 있을 경우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