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다 ‘헉’ 심정지…흡연·음주보다 위험하다는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은?

잠자다 ‘헉’ 심정지…흡연·음주보다 위험하다는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은?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4-11-20 14:42
수정 2024-11-20 1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수면 이미지. 123rf.com
수면 이미지. 123rf.com


자다가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5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정책연구용역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 요인 규명 추적조사’ 결과를 배포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증상은 호흡 중단 외에도 코골이, 졸림증,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 위험 요인으로는 신체 구조적인 것 외에도 성별(남성), 흡연 또는 음주, 비만이나 고혈압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2018년 4만 5067명에서 지난해 15만 3802명으로 약 3배 늘었다.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이미지 확대
수면무호흡증 바로알기 카드뉴스. 질병관리청
수면무호흡증 바로알기 카드뉴스. 질병관리청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높았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 높았다. 역시 심혈관질환이 없는 65∼100세 고령층은 34%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수면무호흡증 위험 요인이 있으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코를 고는 경우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치료 방법에는 체중을 줄이고 음주와 흡연을 제한하는 행동치료나 수면 중 양압기·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기구 요법, 비강 수술 치료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 관리를 통해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