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비상-감염 진료·대응 어떻게] 대체인력 없어 쪽잠 진료 열흘째… 감염 노출 의심 의사까지 나섰다

[메르스 비상-감염 진료·대응 어떻게] 대체인력 없어 쪽잠 진료 열흘째… 감염 노출 의심 의사까지 나섰다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6-12 00:08
업데이트 2015-06-12 0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계상황에 다다른 의료진

#1. 한 대학 부속병원 감염내과 전문의 A씨는 열흘째 병원에서 쪽잠을 자고 있다. 음압병상에 입원 중인 메르스 감염 환자를 동료 한 명과 2교대로 돌봐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점점 지쳐 가고 있다. “환자를 진료하면서 수시로 방호복을 입었다 벗었다 하는데 그때마다 땀으로 목욕을 합니다.”

#2. “2주는 버텼지만 이 상황이 길어지면 대체 인력 없이는 안 될 것 같아요.” 응급의학과 전문의 B씨가 일하는 대형 병원은 메르스 바이러스 노출로 의료진 20여명 등 병원 전체적으로 40여명이 격리됐다. B씨는 병원 내 24시간 운용되는 선별진료소에서 근무 중이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간호사가 6시간씩 4교대로 일한다. B씨는 “야외에 천막 형태로 만들어진 진료소에서 6시간 동안 방호복을 입고 견디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방호복 입은 채 6시간 진료 땀범벅… 체력 바닥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감염내과와 응급의료학과 등을 중심으로 의료진의 피로 누적과 이에 따른 체력 고갈이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일부 병원 중환자실에서는 대체 인력이 부족한 탓에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의료진까지 진료에 나서는 아찔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대한병원감염학회 관계자(감염내과 전문의)는 “현재 2개 의료기관에서 바이러스 노출로 감염이 의심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의사들 중 일부가 근무를 하는 것으로 안다”며 “중환자실 의료진이 당장 빠지면 진료 체계 자체가 마비되기 때문에 보건 당국과의 상의하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간호장교·군의관 투입해도 역부족”

11일 대한감염학회에 따르면 국내 감염내과 전문의 숫자는 200여명으로 한 병원당 통상 1~2명 정도가 근무한다. 메르스 집중치료기관으로 지정된 한 공공병원도 감염내과 의료진 수는 2명에 불과하다. 2명이 12시간 또는 24시간씩 교대 근무하는 강행군이 2주 이상 이어지다 보니 의료진의 체력은 고갈된 상태다.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전문의)은 “초기에 병원 간 정보 공유가 안 돼 의료진이 2주씩이나 대거 격리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났던 것이 일손 부족을 키웠다”며 “간호장교, 군의관이 지원된다고 해도 의료진은 태부족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초기 대응 미숙에 의료진 격리 치명타

메르스 환자 1명을 돌보는 데 필요한 최소 의료 인력은 의사 2명, 간호사 8명 등 11명 정도다. 음압병동 안팎에서 환자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의약품, 의약외품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간호사 수가 중환자실 환자 5~6명을 담당하는 인력과 비슷하다.

유지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고려대의료원 간호사)은 “그나마 대체 인력으로 투입 가능한 군의관도 지금 대전 등 일부 지역에 동원됐지만 보건복지부가 다른 부처와 원활하게 협력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6-12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