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늘어나는 사마귀, 전염 주의하세요

봄철 늘어나는 사마귀, 전염 주의하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05-03 23:44
업데이트 2015-05-03 2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자 절반이 면역력 약한 청소년들

바이러스 질환인 사마귀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절반 이상은 소아 청소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인데, 특히 5월부터 환자가 급증해 주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바이러스 사마귀로 병원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0대 환자가 32%로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9세 이하 소아(23%)가 그다음으로 많았다. 전체 환자 수는 2009년 23만여명에서 2013년 36만여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2%씩 가파르게 증가했다. 조남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10대 사마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10대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통계를 보면 사마귀 환자는 4~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많고 9월에 급격히 줄었다. 조 교수는 “아마 봄부터 활동량이 늘고 신체 접촉도 많아져 사마귀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사마귀는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피부나 점막에 구진(피부가 1㎝ 미만 크기로 솟은 것)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손, 발, 다리, 얼굴에 생기며 성 접촉에 의해 성기에도 생긴다. 전염력이 강해 발가락이나 손가락에 생기면 바로 옆 손·발가락에도 전염될 수 있어 만지지 않는 게 좋다. 보통은 자연 치유되지만 성기 사마귀는 악성이 될 수 있고, 손·발톱 주위에 생기면 손·발톱의 모양이 변하는 데다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발바닥, 발가락, 발 등에 생겨 신을 신거나 걸을 때 통증이 느껴지는 사마귀는 치료 시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손등 같은 곳에 생긴 사마귀는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아 건강보험을 적용받을 수 없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5-04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