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광범위한 탈모 늘어…대량모발이식 필요?

젊은층, 광범위한 탈모 늘어…대량모발이식 필요?

입력 2015-03-19 14:03
업데이트 2015-03-19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남구에 거주 중인 직장인 김 모씨(38세)는 젊은 나이에 찾아온 탈모로 인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특히 얼마 전, 딸 아이의 입학식에서 나이 들어 보인다는 말을 듣고 적지 않은 충격에 빠졌다고 한다.

김 씨는 “탈모 때문에 나이가 많이 들어 보인다는 소리를 종종 들었지만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하지만 나 때문에 아이가 학교에서 놀림을 받지 않을까 해서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탈모가 20~30대 젊은 층에도 나타나면서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국내 탈모인구는 전체 국민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1,000만 명에 이르며, 젊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지나친 경쟁구조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환경오염 등을 탈모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과거 유전적인 요인으로만 인식됐던 탈모가 이제는 사회적인 요인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

젊은 층의 탈모는 곧 대량모발이식이 필요한 광범위한 탈모환자가 많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노블라인의원 백현욱 원장은 “탈모가 젊은 나이에 시작되면 중장년층이 되었을 때는 광범위한 탈모로 발전해있는 경우가 많다”며 “두피 케어제품이나 약물치료 등 간접적인 방법은 약해진 두피를 건강하게 해 탈모를 예방할 수는 있으나 이미 탈모부위가 넓게 퍼져있는 상태라면 대량모발이식 같은 적극적인 탈모치료가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대량모발이식은 절개식 모발이식과 비절개식 모발이식으로 나뉘는데, 이중 절개식 모발이식은 후두부에 있는 두피를 절개해 떼어낸 후 모낭 단위로 나눠 해당 탈모 부위에 심는 방식으로,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만,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한번 채취할 수 있는 모발 수가 3,000~5,000모로 제한돼 있어 이 방식으로 대량모발이식을 진행할 경우 오랜 시간 2~3회에 걸쳐 진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비절개 모발이식은 말 그대로 절개과정이 필요 없어 절개식 모발이식보다 흉터나 통증, 붓기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으며, 재수술이 용이하고 수술 후 곧바로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또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의료진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결과가 좌우되는 만큼 해당 의료진이 비절개 방식으로 대량모발이식을 진행한 경력이 있는지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백 원장은 “본원은 10,000모발을 채취해 이식한 다수의 수술 케이스를 보유하고 있다”며 “비절개모발이식으로 대량모발이식을 진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모발의 생착률이다”고 강조했다. 모낭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착률을 높이기 위해 이 병원은 7명의 의료진이 함께 수술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백현욱 원장은 “최근 관련 학회에서 일부 병원들이 수술 전후 사진을 포토샵으로 보정하여 과장되게 광고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며 “노블라인의원에서는 합성의 여지가 있는 사진보다는 수술 전후 동영상을 제시함으로써 환자가 믿고 모발이식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