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전문의 대란

비뇨기과 전문의 대란

입력 2013-04-29 00:00
업데이트 2013-04-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원율 139→40% 급감…학회 “보험수가 올려줘야”

의대 졸업생들의 전공과 편중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비뇨기과학회(회장 한상원)가 “이 같은 전공 불균형현상이 결국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상황에 직면했다”면서 보험수가 조정 등 특단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학회는 최근 기자간담회를 갖고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율이 10년 전 138.5%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올해는 39.7%로 임상과 중 가장 낮았다”며 “특히 이런 현상이 지방에서 더욱 심해 올해 부산·경남지역 전공의 지원자는 단 1명뿐이며, 충북·전북은 아예 없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고령화와 맞물려 주요 비뇨기 질환인 전립선비대증·전립선암·배뇨장애 및 요실금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전립선암의 경우 1999년 인구 1000명당 6.1명이던 것이 2009년에는 29.6명으로 10년 새 386%가 증가했는데, 이는 국내 암 중 2위에 해당할 만큼 높은 발생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의가 부족해 일부 병원에서는 비뇨기과 응급환자를 기피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비뇨기과 의사 수는 인구 10만 명 당 4.7명으로 의료선진국의 30∼40%에 불과하다.

학회 측은 이 같은 현상이 보험수가 저평가와 함께 비뇨기과 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많은 환자들이 전립선비대증이나 요실금 등 비뇨기과 질환을 다른 진료과에서 치료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비뇨기과 고유 영역이 줄어들면서 전공의 기피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형래(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홍보이사는 “이런 상황에서는 양질의 진료가 불가능한 만큼 관련 보험 수가를 정책적으로 높이고, 비뇨기과의 전문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4-2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