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물만 먹어도 살 찐다?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물만 먹어도 살 찐다?

입력 2011-11-07 00:00
업데이트 2011-11-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별로 먹는 것도 없는데 자꾸 살이 찐다고 스스로 믿는 경우일 텐데, 사실은 그런 사람들이 물만 먹는 건 절대 아닙니다. 세상에 원인 없는 결과란 없지요. 잘 살펴보면 살이 찌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다 있습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되지요. 인정을 하든 그러지 않든 필요 이상으로 많이 먹거나, 많이 먹지는 않지만 몸 속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지방은 유리지방산으로 바뀌어 혈액을 타고 몸 곳곳을 떠돌아다닙니다. 운동할 때 가장 먼저 사용되는 이 유리지방산이 연소되어 활동에너지를 만들게 됩니다. 문제는 이게 다 소모되지 못하고 중성지방으로 바뀌어 세포 속에 들어앉는 경우입니다. 지금, 당신의 출렁이는 뱃살을 한움큼 쥐어 보세요. 부드럽게 잡히는 살이 대부분 중성지방입니다. 그러면 왜 이런 반갑잖은 중성지방이 세포에 터를 잡을까요. 간단합니다. 인체는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잉여 지방을 끌어다 저장하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너무 많이 쌓아 문제가 되는 거지요. 이처럼 지방이 쌓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포도당입니다. 중성지방은 유리지방산에서만 생성되는 게 아니고, 글리세롤이라는 물질에서도 생성되는데, 이 물질의 원료가 포도당이지요. 포도당은 우리의 주식인 쌀·밀가루 등 곡물류로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2차 산물입니다.

그렇다고 보면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말은 안 해야 합니다. 그럴 리가 없으니까요. 요새 회자되는 “살 안 찌려면 밥 적게 먹으라.”는 말도 이런 점에서 근거가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밥을 안 먹는다면 인체는 뭔가 대체식품을 찾아 부족한 열량을 충당하려고 합니다. 안 먹고 살 수는 없으니까요. 또 살아남으려면 당연히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답이 나오지 않습니까. 안 먹기보다 알맞게 먹으면서 운동이든 일이든 에너지를 태울 활동을 하면 됩니다. 그것이 살 안 찌거나, 찐 살을 빼는 유일한 길입니다. 다른 왕도는 없습니다.

jeshim@seoul.co.kr

2011-11-07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