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유병률 높은 전립선염 관심 가져야

[굿모닝 닥터] 유병률 높은 전립선염 관심 가져야

입력 2011-04-04 00:00
업데이트 2011-04-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훤칠하고 준수한 40대의 그 환자는 귀공자 스타일이었다. ‘이 환자는 만성 비뇨기 질환자이고, 여러 병원을 다녀봤을 것이다.’ 의사란 직업 때문에 습관적으로 하게 되는 필자의 예측이 딱 맞았다. 진료실에 들어와 유심히 필자를 살피던 그는 결심이 선 듯 이내 말문을 열었다.

1년쯤 전부터 이유 없이 요도 끝이 간지럽거나 찌릿하게 아픈가 하면 어떤 때는 음낭과 항문 사이의 회음부가 화끈거리더란다. 소변도 시원찮고 어떤 때는 아랫배 쪽에 통증이 느껴지는 등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호소했다. 병세도 종잡을 수 없어 우울증 치료까지 받을 정도라고 했다.

필자는 진료 전에 환자와 약속을 했다. 우선, 증상이 금방 나아지지 않더라도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기로. 검사 결과는 만성 전립선염이었다. 물론 그 환자는 약속을 잘 지켜 6개월쯤 후에 문제의 병을 완전히 떨칠 수 있었다. 전립선염은 비뇨기과 개원의를 찾는 환자 25%가 앓을 만큼 흔해 이 때문에 속병을 앓는 남성들이 적지 않다. 사춘기 이전에는 드물지만 성인 남성 중 50%가 평생 한번 이상 전립선염을 경험할 정도다. 미국의 통계를 보면 유병률이 5~16%나 되며, 비뇨기과 외래환자의 15~25%가 전립선염 증후군 환자로 추정된다. 유병률이 당뇨병이나 심근경색증과 비슷한 정도라는 보고까지 있다. 그만큼 흔한 요로 질환이다.

이로 미뤄 전립선염은 의외로 흔하며, 그런 까닭에 더더욱 큰 관심을 가져야 할 질환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유병률이 높다면 당연히 전립선염에 대한 정확한 분포 및 유병률 파악을 위한 국가 차원의 조사가 시행되어야 옳다. 많은 사람이 앓고 있고, 잘 낫지도 않는데 관련 통계조차 부실하다면 의사든 환자든 마치 암흑 속에 홀로 있는 느낌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04-04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