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보호지역 지정 효과, 생물종 최대 64% 증가

습지보호지역 지정 효과, 생물종 최대 64% 증가

입력 2014-10-29 00:00
업데이트 2014-10-29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서식 생물종 수가 크게 증가, 생물 다양성 보전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고창 운곡습지와 제주 물영아리오름, 제주 1100고지습지, 경남 화엄늪, 신안 장도산지습지 등 5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생물종수가 가장 많은 곳은 운곡습지로 864종으로 확인됐고 물영아리오름(706종), 1100고지습지(695종), 화엄늪(418종), 장도산지습지(355종) 등이다.

 지난 2011년 지정된 운곡습지(1.797㎢)는 2010년 조사당시 527종이 서식했으나 지난해 조사에서 63.9%가 늘어난 337종이 추가 발견됐다. 1100고지는 2008년 445종에서 2013년 250종이 추가돼 56.2% 증가했다.

 조사 결과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서식 생물종이 늘어난 이유는 출입과 채취 등의 행위가 제한되고 훼손지 복원 등 체계적인 습지 관리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또 추가 발견된 생물종 중에는 두점박이사슴벌레와 검독수리, 물수리 등 멸종위기야생생물 등이 포함됐다.

 조사자료는 습지 생태계 변화를 조사하고 습지보호지역의 체계적인 관리에 활용된다. 한편 환경과학원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19곳 중 매년 3~5곳을 선정해 총 10개 분야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