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야, 안개야… 불안해 못 살겠네”

“미세먼지야, 안개야… 불안해 못 살겠네”

입력 2014-02-26 00:00
업데이트 2014-02-26 0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일 전국의 미세먼지(PM-10) 농도가 ‘나쁨’ 수준으로 올라가는 등 우리나라 전역이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았다. 환경부 국립과학원은 26일에도 수도권에 ‘나쁨’(일평균 121~200㎍/㎥), 강원·충청권에 ‘약간 나쁨’(일평균 81~120㎍/㎥) 단계가 지속되는 등 당분간 미세먼지 피해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보했다.
이미지 확대
김포공항 항공편 잇단 결항… 미세먼지 공습과 연관 있나
김포공항 항공편 잇단 결항… 미세먼지 공습과 연관 있나 중국발 미세먼지와 짙은 안개 등으로 ‘저시정(視程) 경보’가 내려진 25일 서울 김포공항에 항공기들이 멈춰 서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김포공항 인근인 서울 강서구 발산동에서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김포공항 인근인 서울 강서구 발산동에서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5일 오전 7시 인천의 가시거리는 50m에 불과했다. 서울에는 가시거리 1.3㎞ 정도로 옅은 안개가 끼었지만, 안개의 원인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 시민들은 미세먼지의 공포에 떨어야 했다. 이날 오전 7시 김포공항에 ‘저시정(視程) 경보’가 내려지면서 48편이 결항됐고 인천공항에서도 10편 이상의 항공기가 회항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나타난 안개는 대기 정체로 5일째 미세먼지가 축적된 데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돼 나타난 현상이다.

기상청은 전날 미세먼지로 뿌예진 현상을 ‘연무’(煙霧)라고 한 것과 달리 이날은 ‘안개’ 또는 ‘박무’(薄霧)가 낀 상태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가시거리가 짧아진 원인이 미세먼지보다는 수증기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대기가 뿌옇게 나타나는 현상은 가시거리와 습도를 기준으로 안개와 박무, 연무로 구분한다. 가시거리가 1㎞ 미만이면 안개, 1~10㎞이면 박무 또는 연무라고 한다.

가시거리 기준은 박무와 같지만, 시정을 방해하는 요인이 수증기가 아니라 미세먼지 등 다른 데 있다면 연무로 본다.

시민들은 여전히 미세먼지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직장인 김동엽(33)씨는 “아침에 출근하는데 뿌연 안개가 미세먼지 때문인 것 같아 불안했다”면서 “여전히 목이 따끔거리고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당초 26~27일 전국에 비가 내리며 미세먼지가 수그러들 것으로 전망됐지만, 비 소식이 일부 남부지방에 국한될 것으로 예보가 바뀌면서 중부지방에는 미세먼지 피해가 이어질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수증기로 말미암은 안개는 낮 기온이 올라가면 서서히 사라지겠지만 미세먼지에서 비롯된 연무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28일쯤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미세먼지 농도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안개는 봄이나 가을 등 주로 계절이 변할 때 일교차가 커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돼 나타난다. 기상청에 따르면 안개는 겨울에도 종종 발생하지만 가장 많이 나타난 달은 습도가 높은 7월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2-26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