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활동 점수 사라지자… 10대 개인헌혈 5년째 ‘뚝’

봉사활동 점수 사라지자… 10대 개인헌혈 5년째 ‘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2-18 09:03
업데이트 2024-02-18 0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헌혈 한 번에 4시간 봉사활동을 인정받던 제도가 사라지면서 10대 헌혈이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 따르면 2019년 헌혈 건수는 총 261만 3901건에서 이듬해 243만 5210건으로 약 6.8% 줄었다. 특히 이 기간 10대(헌혈 가능 나이인 만 16~19세)의 헌혈 건수는 2019년 75만 6107건에서 2020년 47만 9602건으로 44.5%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10대 청소년의 헌혈 감소 추세는 5년째 이어지고 있다. 2019년 10대 헌혈 건수 75만 6107건과 비교하면 지난해 10대 헌혈 건수는 47만 1161건으로 37.7%가량 줄었다. 고등학생이 자발적으로 헌혈의집을 찾아 개인 헌혈을 한 건수 역시 2019년 22만 239건, 2020년 20만 3404건, 2021년 17만 9321건, 2022년 10만 3868건, 지난해 8만 614건으로 감소했다.

학생 수가 줄어드는 문제, 코로나19 등도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대한적십자사는 교육 정책 변화를 헌혈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교육부가 2019년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개인 봉사활동 실적 등을 학생부 종합전형(학종)에 필요한 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되지 않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교가 기획·운영하는 단체 봉사활동은 생활기록부(생기부)에 입력할 수 있지만 개인 봉사 활동은 생기부에 입력하더라도 대입 성적에 반영되지 않게 됐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관계자는 “학교 차원의 단체 헌혈은 봉사 활동으로 인정되지만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하는 개인 헌혈은 인정이 안 되면서 고등학생 헌혈이 크게 줄었다”라며 “개인 헌혈도 봉사활동으로 인정하거나 헌혈자 보상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혈액 부족이 만성화한 가운데 학생들의 자발적인 헌혈마저 줄어드는 것은 큰 문제로 꼽힌다. 다만 근본적으로 입시를 위해서가 아니라 사회 전체적으로 생명을 구하기 위한 선의로 헌혈하는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