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흑룡띠’ 반짝 증가… 교사당 초등생 늘어 16.5명

‘백호·흑룡띠’ 반짝 증가… 교사당 초등생 늘어 16.5명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09-08 22:32
업데이트 2020-09-09 0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OECD 비해 열악한 우리나라 교실

한국 0.1명 증가… OECD 평균 14.6명
학급당 20명 넘어 교실 내 거리두기 난항
고등 공교육 지출액, OECD 3분의2 수준
이미지 확대
2018년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 등 교실 수업 환경을 나타내는 지표 대부분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웃돌았다. 고등교육 단계에서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OECD 평균의 3분의2 수준이었다.

OECD는 8일 이 같은 내용의 ‘OECD 교육지표 2020’을 발표했다. OECD 교육지표는 회원국 38개국과 비회원국 8개국을 대상으로 학생과 교원, 교육재정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을 조사해 비교한 자료다.

이에 따르면 2018년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6.5명으로 전년(2017년)보다 0.1명 증가했다. 교장과 교감, 상담·사서·보건교사 등 비교과교사를 제외하고 실제 교과수업을 하는 교사로 한정해 산출한 것이다.

같은 해 OECD 평균은 14.6명이었다. 한국교육개발원 관계자는 “‘백호띠’(2010년생)와 ‘흑룡띠’(2012년생)의 영향으로 2010~2011년 출생아 수가 반짝 증가해 2018년 초등학생 수가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면서 “초등교원 수 증가율(1.3%)이 학생 수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2018년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에서 23.1명으로 OECD 평균(21.2명)보다 2명 많았다.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는 26.7명으로 전년 대비 0.7명 줄었지만 여전히 OECD 평균(23.3명)보다 3.4명 많았다. 고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12.2명으로 전년도에 이어 OECD 평균(13.0명)을 하회했다.

교과교사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는 맞춤형·개별화 수업이 가능한지 등 교실 수업의 질을 좌우하는 지표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20명만 넘어도 교실 안에서 거리두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전체 교육비에서 정부의 재원이 차지하는 비율도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고등교육 분야의 공교육비에서 정부와 민간 투자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정부 투자가 38.1%인 반면 민간 투자는 61.9%에 달했다. 정부 투자가 68.2%를 차지하는 OECD 평균과 정반대다. 초·중등교육 단계 공교육비에서의 정부 투자 비율(87.3%) 또한 OECD 평균(90.1%)보다 낮았다.

전체 공교육비가 개별 학생에게 돌아가는 몫을 산출한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고등교육에서 1만 633달러로 OECD 평균(1만 6327달러)의 65.1%에 그쳤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09-09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