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생 10명 중 3명 “한반도 평화롭지 않아”…부정적인 北 인식 확산

초·중·고생 10명 중 3명 “한반도 평화롭지 않아”…부정적인 北 인식 확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02-11 21:00
업데이트 2020-02-1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초·중·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3명이 ‘한반도가 평화롭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연이어 열린 2018년에는 10명 중 4명 가까이가 “평화롭다”고 응답했지만 불과 1년 만에 북한과 한반도 정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악화됐다.

교육부와 통일부가 지난해 10~11월 한 달여간 전국 초·중·고교생 6만 9859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1일 발표한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반도가 얼마나 평화롭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학생들의 33.7%가 “평화롭지 않다”고 응답했다. 2018년 15.5%에서 18.2% 포인트 오른 것이다. 반면 “평화롭다”고 응답한 학생은 19.0%로 2018년 36.6%에서 17.6% 포인트 급감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인가’라는 질문에 “협력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응답은 2018년 50.9%에서 2019년 43.8%로 줄어든 반면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응답은 28.2%에서 35.8%로 증가했다. ‘‘북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전쟁·군사”라고 응답한 학생은 29.7%에서 31.8%로 늘고 “한민족·통일”을 꼽은 학생은 24.9%에서 21.8%로 줄었다.

학생들의 절반 이상(55.5%)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이는 2018년 63.0%에서 7.5% 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반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13.7%에서 19.5%로 늘어났다. 통일 시기에 대해서는 “20년 이후”, “불가능함” 등의 응답은 1년 새 증가한 반면 가까운 시일을 내다본 응답은 감소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02-12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