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사·교수들 “한국사 수능필수되면 공교육 와해”

사회교사·교수들 “한국사 수능필수되면 공교육 와해”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1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科 교육학회 “다른 과목 존립 기반 흔들려” 비판

정치권과 일부 교육단체가 주장하는 한국사 수능 필수 등 역사교육 강화 방안에 대해 사회과목 교사와 교수들이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는 15일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하거나 수업시수를 늘리는 등 최근 거론되는 역사교육 강화 방안은 공교육 체제 와해와 사교육시장 팽창, 시민교육 황폐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성명을 내놓았다.

사회과교육학회는 전국사회교사모임, 한국경제교육학회, 전국일반사회교육전공 교수협의회,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전국도덕교사 모임, 전국지리교사연합회, 전국국립대 윤리교육과 교수협의회 등 사회과목 교사·교수 모임이 회원이다.

이들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고교 전 과정이 선택교육과정이 됐는데도 한국사는 ‘역사교육 강화’라는 명분 아래 유일무이의 필수과목이 돼 엄청난 특혜를 누리고 있는 반면 사회·도덕 교과군의 다른 과목은 명맥만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사학계 및 역사교육계는 한국사를 필수로 가르치면서도 제대로 못 가르친 것을 반성하기는 커녕 ‘시수가 부족하다’거나 ‘수능 필수과목이 아니라서 그렇다’는 식으로 현실을 호도해 사욕을 채우는 기회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수능 필수’에 대해서도 이들은 “사회탐구 영역에서 최대 2과목까지 선택할 수 있게 한 2014학년도 수능 체제에서 한국사를 수능 필수로 지정하면 한국사 이외 사회과목은 한과목만 선택하게 돼 다른 과목은 존립 기반이 사라진다”고 강조했다.

또 “국어, 영어, 수학에 이어 한국사까지 사교육의 주요 시장이 돼 학생과 학부모, 가정 및 국가경제에 고통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국사학계와 역사교육계는 이미 충분히 확보한 시수 내에서 양질의 교육을 해야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화 법률안을 발의한 국회의원들과 역사교육 강화방안을 마련중인 교육부는 국사학계 및 역사교육계의 포퓰리즘적 주장에 편승하지 말고 공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시민교육의 황폐화 가능성을 직시하라”고 이들은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