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묻습니다] Q. 지식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요

[기자가 묻습니다] Q. 지식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요

입력 2010-08-03 00:00
업데이트 2010-08-0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산학원’이라고 있었습니다. 말 그대로 주판으로 셈하는 법을 배우는 곳입니다.

고수들은 주판이 없어도 손가락을 까딱까딱해 가며, 또는 머릿속에 주판을 그리고 숫자를 백 개씩 더하는 문제에 1초 만에 답을 냈습니다.

서너 집 걸러 하나씩은 있던 주산학원이 돌연 사라졌던 것은 아마도 계산기와 컴퓨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비슷한 고민을 지금 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지식검색을 통해 알고 싶은 것을 1분도 안 돼 알아낼 수 있는 세상. 얼마만큼의 지식을 머릿속에 담아 두어야 할까요.

이른바 암기과목이라는 과목에서 배운 지식들이 무용지물처럼 느껴집니다.

그렇다고 조선시대 왕 이름이나 생물의 종 분류법이나 건축양식의 변화 순서를 외워놓지 않는다면, 정작 앞으로 어떤 것을 더 배워야 할지도 알지 못할 것 같습니다.

우리는 과거에 비해 어떤 것을 알고 어떤 것을 잊어야 할까요.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8-03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