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재 “불 찾아가는 불나방처럼… 연쇄살인 14건 모두 내가 했다”

이춘재 “불 찾아가는 불나방처럼… 연쇄살인 14건 모두 내가 했다”

김병철 기자
입력 2020-11-03 01:40
업데이트 2020-11-03 0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4년 만에 8차 사건 재심 증인 출석

흰머리에 주름 패었지만 몽타주 그대로
20년 억울한 옥살이 윤성여씨에게 사과

이미지 확대
10대부터 70대까지 여성을 강간·살해·유기한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인 이춘재가 34년 만에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기 위해 2일 법정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은 이춘재가 출석한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 501호 법정. 뉴스1
10대부터 70대까지 여성을 강간·살해·유기한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의 범인인 이춘재가 34년 만에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기 위해 2일 법정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은 이춘재가 출석한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 501호 법정.
뉴스1
“반성하고 있고, 그런 마음에서 모든 사건을 자백했다.”

영화 ‘살인의 추억’으로 알려진 ‘화성 연쇄살인’의 범인인 이춘재(56)가 2일 ‘진범 논란’을 빚은 1988년 9월 ‘8차 연쇄살인 사건’의 증인으로 법정에 섰으며, 1980년대 경기 화성과 충북 청주 일대에서 벌어진 14건의 연쇄살인 사건 모두 자신이 저질렀다고 인정했다. 또한 8차 사건의 범인으로 몰려 20년간 ‘억울한 옥살이’를 한 윤성여(53)씨에게 사건 발생 32년 만에 사과했다.

첫 번째 살인 사건 발생 34년 만에 일반에 모습을 드러낸 그는 지난해 경찰의 재수사가 시작된 후 “범행 당시 현장 은폐 등 정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경찰에서 곧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저의 사건에 관계된 모든 분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반성하고 있고, 그런 마음에서 자백했다”고 털어놨다.

이춘재는 짧은 스포츠머리에 군데군데 흰머리가 성성했다. 오랜 수감 생활 탓인지 얼굴 곳곳에는 주름이 깊게 패었으나 얇게 찢어진 날카로운 눈매는 30여 년 전 몽타주 속 사진과 다름없었다. 그는 경찰이 교도소로 찾아와 DNA 감정 결과 등을 토대로 추궁하자 1980년대 화성과 청주에서 저지른 14건의 살인 범행에 대해 모두 털어놨다고 설명했다. 범행 동기에 대해서는 “어떤 계획이나 생각을 갖고 한 것이 아니라 불을 찾아가는 불나방처럼 범행을 저질렀다”고 했다.

이춘재는 이날 법정에서 윤씨를 포함해 범인으로 몰려 온갖 고초를 겪다가 죽거나 다친 무고한 사람들의 사연이 담긴 뉴스영상을 본 뒤 “제가 저지른 살인 사건으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수형 생활을 한 윤씨에게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밝혔다. 윤씨는 재판이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이춘재가 법정에 나와 진실을 말해 준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100% 만족스럽지는 않다”며 “다만 그가 진실을 밝혀 줘서 여기까지 온 것에 대해서는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춘재 8차 사건은 1988년 9월 16일 경기 화성군 태안읍 진안리에서 박모(당시 13세·중학생)양이 성폭행 피해를 본 뒤 살해당한 사건이다. 이듬해 범인으로 검거된 윤씨는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상소하면서 “경찰의 강압 수사로 허위 자백을 했다”며 혐의를 부인했으나, 2심과 3심 재판부는 이를 모두 기각했다.

20년을 복역하고 2009년 가석방된 윤씨는 이춘재의 범행 자백 이후인 지난해 11월 법원에 재심을 청구했고, 법원은 지난 1월 이를 받아들여 재심 개시 결정을 내렸다. 이춘재가 법정에 나와 일반에 공개된 것은 그가 자백한 연쇄살인 1차 사건이 발생한 1986년 9월로부터 34년 만이며, ‘진범 논란’을 빚은 8차 사건이 발생한 1988년 9월로부터 32년 만이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20-11-03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