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자·관광객으로 입국한 불법체류자, 최근 10년 간 3배 이상 증가

무비자·관광객으로 입국한 불법체류자, 최근 10년 간 3배 이상 증가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7-10-04 11:26
업데이트 2017-10-04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비자 입국을 허가받거나 관광을 목적으로 국내에 들어와 불법체류하는 외국인이 10년 사이에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공항 외국인 입국 심사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인천공항 외국인 입국 심사대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금태섭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으로 국내 불법체류 외국인 중 사증면제(B-1)로 입국한 경우가 7만 2054명, 관광통과(B-2)로 들어온 경우가 1만 6689명으로 모두 8만 8743명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체 불법체류자 22만 7677명 가운데 38.9%를 차지했다.

무비자나 관광통과로 입국해 불법체류자가 된 인원은 2008년에는 2만 5000명으로 전체(20만 489명)의 12.4%에 불과했다. 인원 기준으로는 10년 사이에 3.5배, 비율 기준으로는 3.1배 늘어난 것이다.

특히 사증면제로 입국한 불법체류자가 2013년 2만 2241명에서 2014년 4만 6117명, 2015년 5만 6307명, 지난해 6만 3319명으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10년 전에 4만 4055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단기방문(C-3)이 올해 7월 기준으로 5만 1737명, 두 번째로 많던 비전문취업(E-9·3만 4348명)이 같은 시기 4만 6894명으로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이는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들이고자 무비자 관광을 허용하는 등 방한 문턱을 낮춘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무비자 입국제도로 들어와 불법체류하는 외국인에 의한 범죄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태섭 의원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 무비자 입국 허용을 확대하고 있지만 불법체류자 발생 가능성도 커지는 만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