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목에 걸려… 등원 차량에 치여… 어린이집서 아이들 5년간 54명 숨졌다

장난감 목에 걸려… 등원 차량에 치여… 어린이집서 아이들 5년간 54명 숨졌다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7-09-28 22:32
업데이트 2017-09-28 2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집 안전사고 3만 1203건

작년 8532건… 1년 새 26% 급증
사망 사고 중 45건은 ‘원인 미상’

지난 6월 인천 서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태어난 지 14개월 된 여아가 플라스틱 장난감이 목에 걸려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됐다.
어린이집 인근 병원으로 급하게 옮겨 장난감을 제거하려 했지만 치료가 힘들어 결국 멀리 떨어진 종합병원으로 이동해 장난감을 제거했다. 이 과정에서 심폐소생술 등의 조치를 받았지만 여아는 결국 숨졌다.

지난해 11월 충남 논산의 한 어린이집에서는 낮잠을 자던 아이가 원인 미상의 이유로 숨진 채 발견됐다.

또 그해 8월에는 전남 여수의 한 어린이집에서도 등원하던 아이가 차량 뒤편으로 이동하다가 이를 발견하지 못한 차량에 치여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통학버스 교통사고나 이물질 삽입 등 다양한 어린이집 안전사고로 목숨을 잃은 어린이가 5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 원인이 미상으로 결론나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책임 여부를 가리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 7월까지 발생한 어린이집 안전사고는 모두 3만 1203건에 달했다. 이 중 지난해의 경우 8532건으로 2015년과 비교해 26% 늘었다.

안전사고 유형별로는 화상이 2014년 111건, 2015년 141건, 2015년 160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으며 통학버스 교통사고도 2014년 100건, 2015년 104건으로 정점에 달했다가 지난해 70건으로 줄어들었다. 이 밖에도 부딪힘, 넘어지는 사고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망 사고 54건 중에서는 원인 미상·기타로 분류된 사건이 45건으로 가장 많았다. 통학버스 교통사고도 모두 8건으로 매해 1건 이상 발생했다. 특히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발생 건수가 2012년 2488건에서 2016년 8532건으로 무려 2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 의원은 “대부분의 안전사고가 어른들의 부주의에 의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것들이었다”며 “어린이집 안전 대책을 원점부터 다시 고민해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7-09-29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