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령(蠶靈)이시여! 올해도 누에 농사 잘 되게 하소서”…경북도 풍잠기원제

“잠령(蠶靈)이시여! 올해도 누에 농사 잘 되게 하소서”…경북도 풍잠기원제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4-05-07 14:12
업데이트 2024-05-07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7일 경북 상주시 함창읍 경북잠사곤충사업장에서 열린 ‘2024년 풍잠기원제’에서 참석 내빈들이 누에 첫 밥 주기 시연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7일 경북 상주시 함창읍 경북잠사곤충사업장에서 열린 ‘2024년 풍잠기원제’에서 참석 내빈들이 누에 첫 밥 주기 시연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대한민국 양잠 1번지’인 경북도는 7일 상주시 함창읍 경북잠사곤충사업장에서 누에·양잠 풍년농사를 기원하는 ‘2024 풍잠기원제’를 열었다. 기원제에는 전국 잠업 관련 기관·단체장과 도내 시군 담당 관계자, 양잠협동조합장, 농업인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풍잠기원제는 조선시대 왕실 의례 중 하나인 선잠제(先蠶祭)로부터 유래됐다. 선잠제는 해마다 양잠의 신인 서릉씨를 모시고 누에 치기의 풍요와 한 해의 안정을 기원하던 제사다. 종묘대제와 사직대제 다음의 규모로 행해진 국가 제례였다.

이날 행사는 상주 함창향교의 집전으로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의 강신(신을 맞이하는 예절)과 초헌례(첫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 채현식 함창향교 전교의 아헌례(두 번째 잔), 오홍섭 명주잠업 영농조합 법인대표의 종헌례(세번째 잔),, 누에 첫 밥 주기 시연회 순으로 진행됐다.

경북은 2022년 기준 누에사육농가 261호, 뽕밭면적 128ha로 전국 1위 최대 양잠산물 생산지이다.

도는 양잠 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우량 누에씨 생산 ▲동충하초 종균 농가 공급 ▲누에고치 추출 실크단백질을 활용한 연구 등 양잠산업 기반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김 국장은 “곤충과 양잠 분야가 최근 첨단 생명 소재산업으로 육성되는 등 미래가치가 무궁무진하다”면서 “이번 풍잠기원제를 통해 양잠산업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양잠 농가에 실질적인 미래 비전을 제시하며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상주 김상화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