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방조제. (사진=농림축산식품부 공동취재단)
전북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새만금유역 제3단계(2021년~2030년) 수질 개선 대책’ 연차별 세부실행계획 중 지난해 끝난 단기대책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결과를 토대로 목표 달성 여부, 대책 성과 등을 종합 평가해 목표수질 조정 검토 및 추가대책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단기대책으로 수질 개선이 확인되면 내부 용지 부지매립과 기반 시설 공사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반면 평가 결과 목표 수질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환경단체 등에서 주장하는 해수유통 확대가 힘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새만금 내수면 관리 수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현재 새만금 내수면은 서해보다 평균 1.6m 낮게 유지하며 매립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바닷물 유입으로 내수면이 높아지면 매립 등 조성공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 김관영 지사는 단기 대책 성과를 강조하며 신속한 내부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2021년부터 1일 1회에서 2회로 해수유통을 늘린 결과 농업용지 중 만경강 수역의 물속에 포함된 전체탄소량을 의미하는 총유기탄소(TOC)가 5.1(mg/L)에서 4.4(mg/L)로, 총인(T-P)은 0.094(mg/L)에서 0.087(mg/L)로 감소했고, 동진강 수역은 TOC 38.8%, T-P 13.3%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면서 “관리수위가 변경되면 새만금 내부개발 가속화와 투자유치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천문학적인 추가 매립 비용 등이 발생해 개발사업이 전체적으로 늦춰지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행 관리수위를 유지하면서 해수 순환을 고려한 배수갑문 교호 운전 등 최적의 해수유통 방안을 검토 중이고, 목표 수질 달성이 어려운 경우 환경부와 협의해 추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