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에 대한 자부심 없으면 못해”… 포항 닥종이 ‘스승’과 ‘제자’

“전통에 대한 자부심 없으면 못해”… 포항 닥종이 ‘스승’과 ‘제자’

김상현 기자
김상현 기자
입력 2024-02-12 12:21
업데이트 2024-02-12 1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역 유일 닥종이 제조자 장두천씨가 지난 8일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자신의 작업장에서 발뜨기를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지역 유일 닥종이 제조자 장두천씨가 지난 8일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자신의 작업장에서 발뜨기를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대영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 등 세계 유명 박물관이 자신들의 문화재 복원에 우리 전통 한지를 사용한다는 뉴스는 더이상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닥나무 껍질을 삶아 복잡한 공정을 거친 한지는 두껍고 잘 찢어지지 않는다. 종이에 광택이 날 뿐만 아니라 방수 효과도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는 주요 조공품으로 막대한 양의 종이를 요구해 전체 방물 예산의 30%가 종이 관련인 때도 있었다고 한다. 특히 명 황제는 1425년 세종에게 종이 만드는 법을 글로 적어 바치라는 요구를 하기도 했다. 그만큼 우리의 종이 만드는 기술과 한지의 가치가 크다는 뜻이다.

재활용 차원에서도 닥종이는 독보적인 종이다. 과거시험 낙방자의 답안지인 낙폭지는 신발과 삿갓은 물론 군사들의 갑옷, 새색시가 타고 가는 가마 안의 요강으로 다시 태어나기도 했다.

그런데도 우리는 내구성이 1000년 이상이라는 닥종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누가 만들고 있는지는 전혀 알지 못한다.

값싸고 질 좋은 다종의 양지의 대량 보급으로 대부분 사라진 닥종이지만 포항 지역에서는 난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서 85세 노익장을 과시하는 장두천씨의 손을 거쳐서다. 그는 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은 닥종이 제조자다. ‘닥베기’에서 시작되는 닥종이 제조 공정은 무척 힘든 작업이다. 나이만큼 쇠약해진 장씨의 상태로는 지금 당장 그만둬도 이상하지 않은 작업이다.

다행히 5개월 전 장씨의 65년 닥종이 제조 노하우를 배우겠다는 이가 나타났다. 59세 우태보씨다. 우리 전통 문화에 관심이 많았던 우씨는 한옥집짓기를 5년이나 배운 ‘철강회사’ 직장인이다. 한옥을 배우면서 나무에 관심도 많아져 2년 전 목공예 공방도 차렸다.

그러던 중 한지 공예가 고정숙씨를 만나 지역 닥종이 명맥이 끊길 위기라는 소식을 접했다. 그 길로 우씨는 천씨를 찾아가 제자가 됐다. 지난해 9월부터 닥종이 제조 공정을 눈으로, 손으로 익힌 우씨는 “발뜨기는 하루이틀에 되는 게 아니다. 테크닉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랜 숙련 기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닥종이는 여러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닥나무를 삶아 처음 얻게 되는 재료가 피닥이다. 이것을 다시 물에 불려 백닥을 만든 뒤 삶고 표백하는 여러 공정을 거쳐 닥을 만든다. 액체상태로 뭉쳐 있는 닥을 종이 한장의 얇기로 곱게 떠내는 발뜨기를 해 건조시키면 비로소 한 장의 닥종이가 만들어 진다.

우씨는 천씨에 대해 “한지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신 분”이라며 “처음에는 무턱대고 들어왔는데 한지를 만든다는 게 보통 일이 아니다. 큰 돈이 되는 일도 아니어서 우리 전통을 잇는다는 자부심이 없으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천씨가 만든 종이는 한장에 1000원 정도에 팔린다.

우씨는 닥종이의 품질은 재료로 쓰는 닥나무에서 결정된다고 했다. 3년이하 어린 닥나무를 써야 양질의 종이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그 이상 수령의 닥나무는 곁가지가 많아 아무래도 질이 떨어진단다.

오래 전부터 닥종이를 많이 만들어 온 장기면이지만 이제는 닥나무 구하기도 쉽지 않다고 했다. 닥나무 군락지가 농작물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모조리 베어 내기 때문이란다.

천씨가 곧 종이 만들기를 그만둔다는 소식이 퍼지자 지역 절 등에서 천씨가 만들어 보관하던 종이를 모조리 사가기도 했다. 앞으로는 구할래야 구할 수도 없는 종이가 될 수 있어서다.

아직 거창한 계획은 없다는 우씨는 “천 선생님이 만드신 것과 같은 품질의 종이를 만드는 게 우선”이라며 “닥종이를 사재기하지 않아도 지역에서 구할 수 있도록 천 선생님의 기술을 충실히 이어받겠다”고 말했다.
포항 김상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