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사노위원장 “장시간 근로 해소 등 노사정 공감대”

김문수 경사노위원장 “장시간 근로 해소 등 노사정 공감대”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01-29 18:49
업데이트 2024-01-30 0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尹정부 들어 첫 본위원회 앞두고
역대 위원장 간담회서 조언 청취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발언하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역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9 [제사회노동위원회 제공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은 29일 “저출산과 장시간 근로 해소, 인구구조 변화 대응,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등의 의제에 대해 노사정 간 상당 부분 공감대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경사노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역대 위원장 간담회에서 다음달로 예상되는 경사노위 본위원회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는 윤석열 정부 들어 처음 개최되는 본위원회를 앞두고 노사정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조언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경사노위 본위원회가 대면회의로 열리는 것은 2021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중단됐던 노사정 대화는 지난해 11월 한국노총이 복귀를 선언한 후 9차례의 부대표자 회의 등을 통해 의제와 일정을 논의했다. 본위원회는 김 위원장과 김덕호 경사노위 상임위원을 포함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정부위원 4명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등 근로자 대표 4명,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등 사용자 대표 5명, 공익위원 4명 등 총 17명으로 구성된다. 민주노총이 빠지면서 근로자 대표는 4명이 참여하게 된다.

사회적 대화는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한 근로시간과 고령자 고용,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정년고용과 계속고용 등은 고령화 관련 의제로,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과 산업전환 등 광범위하고 구조적인 문제는 별도 의제로 묶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원인과 해법에 다른 의견이 있겠지만 함께 노력하고 대화를 통해 합리적 대안을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4-01-30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