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품으로’… 개방 100일째 되는 청와대

‘시민 품으로’… 개방 100일째 되는 청와대

류정임 기자
입력 2022-08-17 14:40
업데이트 2022-08-17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와대는 권력자의 장소에서 시민이 역사적 장소를 탐방하고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큰 공원으로 거듭나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향후 청와대를 문화예술과 자연, 역사가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17일 오후 개방 100일을 맞이한 청와대의 모습. 2022.8.17 뉴스1">
윤석열 정부 취임과 함께 열렸던 청와대가 17일 개방 100일을 맞았다.

5년 만에 정권을 교체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10일 취임 첫날부터 용산에 집무실을 마련하며 74년간 권력의 중심에 있던 청와대를 국민의 품으로 돌려줬다.

청와대는 권력자의 장소에서 시민이 역사적 장소를 탐방하고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큰 공원으로 거듭나게 됐다.

한편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74년 만의 전면 개방 후 지난 15일까지 청와대를 찾은 시민은 157만7891명으로 집계됐다.

한때 사전 예약 추첨제였던 입장 신청은 온라인과 현장 접수로 가능하다. 현장 신청은 정문 종합안내소에서 만 65세 이상 어르신, 장애인, 국가보훈대상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루 2회(오전 9시, 오후 1시30분) 각 500명씩 가능하다.

또한 문화재청은 대통령실의 위임을 받아 지난 5월부터 청와대 권역을 관리 중이다.

개방 첫날 50대 여성이 보물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을 파손해 경찰에 붙잡히는 일도 있었으나 이후 특별한 문화재 훼손 신고 건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향후 정부는 문화체육관광부 주도로 문화재청, 대통령실 등과 협의해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