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광역알뜰교통카드 대중교통비 절감 ‘효과’

울산 광역알뜰교통카드 대중교통비 절감 ‘효과’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1-03-26 13:43
업데이트 2021-03-26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 이용 실적 분석 결과, 월평균 교통비 지출액 21.8% 절감

이미지 확대
울산시청.
울산시청.
‘광역알뜰교통카드 교통비 절감 효과 크다.’

울산시는 2019년부터 도입한 ‘광역알뜰교통카드’가 대중교통비 절감에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최대 20%)를 지급한다. 카드사가 추가 할인(최대 10%)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다.

울산시가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민 이용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19년에는 월평균 316명이 이용했으나 2020년 995명으로 대폭 늘었다. 이용자들은 2020년 월평균 대중교통을 35.6회 이용하고, 4만 9706원의 요금을 지출했다. 마일리지 적립이나 카드 할인 등으로는 1만 843원의 혜택을 받았다.

월 교통비 지출액의 21.8%를 절감한 셈이다.

교통비를 최대로 절감한 이용자는 남구에 사는 직장인 A씨로 울산 남구와 부산 진구를 주로 통행해 연간 30만 6715원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일리지가 추가로 지급되는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청년(만 19세∼34세)들은 월평균 대중교통비의 30.3%인 1만 4740원(마일리지 9104원·카드 할인 5636원)을 절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용자 524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만족 이상이 87.4%로 집계돼 사업에 대한 호응이 높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91.8%는 광역알뜰교통카드가 교통비 절감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고, 58.8%는 매우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들은 광역알뜰교통카드 이용 후 이전보다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11.1% 증가했다고 답했다.

이용자 유형으로는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20대(61.2%)와 30대(18.4%) 비율이 높았고, 40대(7.5%)와 50대(6.3%)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성별로는 여성(77.4%)이 남성(22.3%)보다 높았고, 직업별로는 직장인(53.0%)과 학생(23.0%)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 적극적으로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업을 홍보해 이용 실적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