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진실 추구하면 걸림돌인가”…문 대통령 기념사 비판

정의연 “진실 추구하면 걸림돌인가”…문 대통령 기념사 비판

곽혜진 기자
입력 2021-03-03 13:51
업데이트 2021-03-03 1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나영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44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6.17 연합뉴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44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6.17 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과거사 문제 해결 위해) 진실을 추구하는 자들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의 걸림돌로 치부되고 있다”며 한일 협력을 피력한 정부를 비판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3일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81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일본 정부의 거짓 공세에 대응할 (한국)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하나 없이 사안별 미봉책만 난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이사장은 “가해자들의 사실 인정과 진상 규명, 사죄와 법적 배상, 재발 방지를 위한 약속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역사적 정의 구현이 하염없이 지연되고 있는 사이 한편에선 사죄 없는 화해, 과거를 잊은 미래가 이야기되고, 다른 한편에선 역사수정론자와 역사부정론자들의 준동이 극심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위를 주관한 평화나비 네트워크는 성명에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 성노예제의 책임을 인정하고 역사 왜곡을 중단하고 한국 정부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대로 해결해 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고도 했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및 강제징용 피해자 등 과거사 문제와 한일 간 협력을 분리하는 ‘투트랙’ 기조를 강조함으로써 경색된 한일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