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비용 평균 1억5천만원…남녀 7대3 부담이 가장 많아”

“결혼비용 평균 1억5천만원…남녀 7대3 부담이 가장 많아”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4-23 11:09
업데이트 2020-04-23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신혼부부의 결혼비용은 평균 1억5332만원이고, 신랑의 부담이 신부보다 대체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결혼비용 중 주택자금 비중이 줄었고, 자가구입 대신 반전세와 월세를 택한 이들이 늘어났다.

23일 웨딩컨설팅업체 듀오웨드는 최근 2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 1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비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용도별 결혼 비용은 ▲주택 1억800만원 ▲예식홀 1011만원 ▲웨딩패키지(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235만원 ▲예물 294만원 ▲예단 1262만원 ▲이바지 96만원 ▲혼수용품 1203만원 ▲신혼여행 431만원으로 조사됐다.

신랑과 신부의 결혼 비용 부담 비율은 ‘7대 3’이 28.9%로 가장 많았다. 이어 ‘6대 4’가 27.2%로 신랑의 부담이 대체로 신부보다 컸다. ‘5대 5’라는 답은 21.6%에 그쳤다.

주택자금은 전체 결혼 비용 중 70.4%를 차지했다. 주택자금 비중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다 올해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다.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선택한 집 형태는 아파트(40.1%)였고, 다음으로 빌라(24.3%), 오피스텔(18.7%), 주택(13.4%) 순이었다. 전년도 조사 결과와 비교해 아파트는 24%포인트 하락했고, 빌라와 오피스텔은 각각 5.4%포인트, 16.1%포인트 상승했다.

대부분 전세(59.3%)로 신혼집을 마련했다. 자가구입의 경우 전년도 조사에선 28.8%로 전세 다음으로 많았으나 올해는 5.1%에 머물렀다. 반면 반전세(20.2%)와 월세(13.2%)가 전세 뒤를 이었다.

신혼부부는 예단(31.7%), 혼수(29.4%), 예물(17.4%)을 축소 또는 생략했으면 하는 결혼 준비 품목으로 꼽았다.

한편 신혼부부의 72.1%는 작은 결혼식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이들은 ‘식장 대여 시간에 쫓기지 않는 여유로운 결혼식이 가능해서’(32.2%), ‘가까운 지인들과 프라이빗한 결혼식을 할 수 있어서’(22.3%),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결혼식이 가능해서’(20.8%)를 이유로 들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