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후유증 없애는 팁…“마지막 날은 평소처럼”

‘긴 추석’ 연휴후유증 없애는 팁…“마지막 날은 평소처럼”

입력 2017-09-29 09:51
업데이트 2017-09-29 09: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휴 끝날 하루는 휴식…기상 및 취침시간 일상으로 환원”

주말을 포함해 열흘에 달하는 추석 연휴는 그동안의 피로를 해소하는 절호의 기회지만, 이와 동시에 생체리듬을 깨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휴 내내 늦잠을 자거나 늦게 취침해 밤낮이 바뀐 생활을 지속한다면 일상생활의 복귀가 더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하는 게 좋다.

오랜만의 휴식을 즐기려고 낮잠을 과도하게 잤다가는 밤에 다시 잠들 수 없게 돼 연휴 내내 수면리듬이 엉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휴가를 다녀와서 우리 몸이 다시 직장과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에 적응하기까지는 약 1~2주가 소요되는데, 이 기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쉬는 동안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지양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특히 연휴 기간을 꽉꽉 채워 여행이나 야외활동을 하기보다는 마지막 날 하루 정도는 휴식 시간을 갖는 게 좋으므로 사전에 계획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애초에 계획을 세울 때부터 여행 후 연휴 마지막 날 늦은 밤에 돌아오기 보다는 하루 정도 여유를 갖고 귀가하도록 해 여독을 푸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또 연휴 내내 늦잠을 자거나 밤낮이 바뀐 생활을 했다면 마지막 날에는 기상 및 취침시간을 평소와 비슷하게 환원하는 게 중요하다.

이용제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29일 “연휴 마지막 날 평소와 같은 생활을 하는 등 적절한 완충 시간을 두는 것이야말로 연휴 후유증을 줄이는 지름길”이라며 “복귀하는 날 아침에도 가벼운 맨손체조를 하고 직장에서도 스트레칭을 해 일상생활 적응 과정에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특히 낮에 많이 피곤하다고 해서 30분 이상 낮잠을 자면 밤에 잠드는 데 방해가 된다”며 “충분한 수면만으로도 연휴 피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수면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