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서 지진 징조? 심해 어종 산갈치 잇따라 발견

강릉서 지진 징조? 심해 어종 산갈치 잇따라 발견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7-07-24 15:24
업데이트 2017-07-24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강원 강릉에서 심해 어종이 잇따라 발견된 것을 두고 지진과 해일 등의 징조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강릉 경포 해변서 발견된 길이 1.2? 산갈치
강릉 경포 해변서 발견된 길이 1.2? 산갈치 20일 오전 강릉 경포 해변에서 길이 1.2m, 폭 20?가량의 산갈치가 발견됐다. 물놀이하던 여성들이 산채로 떠밀려온 나온 산갈치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7.7.20
독자 제공=연합뉴스
23일 SNS에는 이날 오후 안목 해변에서 떠밀려 나왔다는 산갈치가 사진이 올라왔다. 지난 20일, 22일에도 같은 장소에서 길이 1.2m, 폭 20㎝가량의 산갈치 두 마리가 잇따라 발견됐다.

수심 400m 이하의 바다에 사는 심해 어종인 산갈치는 최대 5m 이상 자라며 왕관을 연상시키는 붉은색 머리 지느러미를 갖고 있다. 심해성 어류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 등에 널리 분포한다. 갈치보다 수십 배는 큰 몸집과 붉은 지느러미로 영물로 여겨진다.

강릉지역에서 잇단 산갈치 출현에 SNS에는 지진의 징조가 아니냐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무서워 쓰나미 오려고 그런 거면 어떻게 해”, “지진 나는 건가?”, “심해어 나오면 좋은 일 아니다”, “쓰나미와 지진 예고다”, “생물들이 먼저 위험 감지한다”는 등의 댓글이 달렸다.

산갈치가 심해에서 연안으로 이동한 점 등을 들어 ‘산갈치가 나타나면 지진이 난다’라는 전조증상으로 해석하는 시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먹이를 찾으러 해수면까지 왔다가 파도에 연안으로 휩쓸려 나온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