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성장’ 저가항공, 안전대책은 제자리

‘고속 성장’ 저가항공, 안전대책은 제자리

입력 2015-12-24 00:00
업데이트 2015-12-24 0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반기에만 승객 1961만명 탑승 “항공기도 오래됐는데 안전 소홀”

“불안해서….” 제주에 여행을 왔던 김모(45·서울)는 예약해 놓았던 저비용 항공사 발권을 취소하고 23일 대형 항공사로 바꾸어 제주를 떠났다.

이번 사고로 ‘저가 항공사’의 안전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토교통부도 이날 해당 항공기의 장비 이상 원인과 점검 적정성 여부 등의 조사에 착수했다. 한국공항공사의 9월 자료에 따르면, 저가 항공사는 올해 1~8월 국내선 이용객 중 절반이 넘는 54.52%, 1961만 8902명을 실어 날랐다. 그 때문에 저가 항공사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 정부가 비상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들이 나온다. 제주 경실련 좌광일 사무처장은 “국내 저비용 항공사가 급속하게 성장했지만 비용이 싼 노후 항공기 임대 운항 등으로 승객 안전은 소홀한 게 아니냐는 불안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제주항공 김원삼 차장은 “사전 점검에서 여압장치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연간 1000만명을 넘어 제주국제공항 운영의 안전성 확보와 제2공항 조기 건설도 시급한 과제다. 지난 12일 제주공항은 관제시설 통신 장비가 모두 먹통이 돼 공항 운영이 1시간 동안이나 마비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제주공항은 주말마다 항공기가 10~20여분간 상공에서 선회를 해야 하는 등 포화 상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제주 항공수요 조사 연구에서 항공기 이착륙 횟수도 2018년 연간 17만2000회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2020년에는 연간 21만 1000회로 증가해 제주공항 활주로의 ‘슬롯 한계치’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현재도 제주 공항은 관광 성수기, 기상악화 직후 등에 항공 교통량이 운항 가능한 ‘최대 한계치’를 넘나들고 있다”며 “제2공항 건설을 2025년 개장 예정보다 최소 2~3년은 앞당기도록 정부가 조기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5-12-24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