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요금인상 앞두고’ 서울 버스노사 임금협상 타결

‘27일 요금인상 앞두고’ 서울 버스노사 임금협상 타결

입력 2015-06-25 08:48
업데이트 2015-06-25 09: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사 시급 3.7% 인상 합의…서울 27일 ‘버스 150원·지하철 200원’ 인상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25일 새벽 버스파업 시한을 불과 10분여 앞두고 임금 협상을 타결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버스노사 임금협상 타결
서울 버스노사 임금협상 타결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버스 파업 시한을 불과 10분여 앞두고 임금 협상을 타결한 25일 오전 정상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들이 서울 백병원 인근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버스노사가 27일로 예정된 버스요금 인상을 목전에 두고 임금인상에 합의해 요금인상이 임금보전을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노사는 전날 오후 2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회의를 시작해 밤샘 협상을 벌였고, 첫차 시간인 오전 4시를 불과 10분여 앞둔 이날 오전 3시50분께 시급 3.7% 인상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양측은 무사고 포상금 월 16만 5천원 지급과 근로시간 중 휴게시간 보장, 운행대수 1대당 노사 상생기금 월 1만 8천원 적립에도 합의했다.

앞서 노조는 임금 7.29% 인상과 휴식 시간 확보, 운전자 보험제도 시행, 정년 1년 연장 등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사용자를 대표하는 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 동결을 주장해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시는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비상수송대책을 해제했다. 이에 따라 시내 모든 학교의 등교시간과 공공기관, 대기업의 출근시간도 정상화했고 개인택시 부제와 승용차 요일제도 정상운행된다.

김경호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시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매우 죄송하다”며 “끝까지 책임감을 잃지 않고 진지하게 협상에 임해준 운수종사자들께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온 사회의 관심이 중증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에 쏠린 상황에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목전에 두고 파업위기까지 초래하며 임금 인상을 추진한 데 대해 노사 모두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득형 위례시민연대 이사는 “요금 인상을 코앞에 둔데다 메르스 확산으로 시민이 혼란을 겪는 가운데 노사가 버스파업 우려까지 낳은 것은 자신들의 이권만 생각한 것으로 시민의 지지를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버스 요금 인상이 서울시의 설명과는 달리 결국 임금 보전을 위한 것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그동안 노후시설 재투자와 운영 적자 해소 등을 위해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버스 운영적자는 3천92억원으로 2012년 대비 25.4% 증가했다.

서울시 버스와 지하철 요금은 27일 첫차부터 각각 150원, 200원 인상된다.

성인 기준 간·지선버스 요금은 1천50원에서 1천200원으로, 지하철 기본요금은 1천50원에서 1천250원 인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