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 없이 ‘가짜 백수오’ 등으로 한약 조제

허가 없이 ‘가짜 백수오’ 등으로 한약 조제

입력 2015-05-12 15:03
업데이트 2015-05-12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창원서부경찰서는 ‘가짜 백수오’인 이엽우피소가 들어간 한약을 조제하는 등 한의사 면허도 없이 한약을 만들어 판매한 혐의(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위반 등)로 약재상 이모(61)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씨는 창원시내 한 시장에서 자신의 딸(31) 명의로 한약재 도매상을 하면서 2009년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한약을 직접 조제·판매해 4억여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약재 도매상은 한약을 조제·판매할 수 없고 약재 유통만 할 수 있다.

경찰은 이 씨가 한의사 자격이 없을뿐더러 의약품 제조 허가도 받지 않고 고혈압, 위장장애 등에 효과가 있다며 ‘○○환’ 등 한약을 직접 만들어 판매했다고 설명했다.

처방한 한약이 효엄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이 씨는 매달 500만~600만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특히 이 씨가 일부 한약을 조제하면서 ‘가짜 백수오’로 알려진 이엽우피소를 원료로 쓴 정황도 파악했다.

해당 한약에 ‘백수오’를 썼다는 성분표시가 있었지만 경찰은 백수오를 사용한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한약재 구매내역을 분석한 경찰은 이 씨가 백수오 대신 겉모양은 비슷하지만 그보다 값이 훨씬 싼 이엽우피소를 구매한 것을 확인했다.

이엽우피소는 최근 홈쇼핑에서 가짜 소동으로 대거 환불사태를 불러일으킨 백수오 제품에 백수오 대신 들어간 약초다.

이 씨는 부친이 운영하던 한약방에서 일했던 경험과 조선시대 말에 간행된 ‘방약합편’이라는 의서를 통해 한약재 지식을 익혔다고 경찰에 털어놨다.

이 씨가 처방한 한약을 구매한 피해자들은 업소 간판에 ‘한약’이라고 적혀있고 사무실안에 약재를 보관하는 한약장, 약탕기가 있어 당연히 한의사 자격이 있는 것으로 알았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경남도한의사회, 창원보건소와 합동으로 단속에 나서 이씨가 무허가로 제조한 의약품 9종을 모두 압수했다.

경찰은 이 씨의 딸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