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처럼 차명계좌로 뇌물받은 공무원 2명 기소

월급처럼 차명계좌로 뇌물받은 공무원 2명 기소

입력 2015-05-12 11:11
업데이트 2015-05-12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회에 장비를 납품하려면 뇌물 없이는 안 된다. 이걸 안 하면 납품을 할 수가 없다. 관행화 돼 있다”

경남 창원지검 통영지청이 입찰 편의를 대가로 업체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경남도의회 직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뇌물을 건넨 업체 관계자들이 털어놓은 말이다.

공공기관에 물건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뇌물이 관행화돼 있고 뇌물을 요구하는 양상도 노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창원지검 통영지청은 경남도의회 직원 A(48·7급)씨를 구속 기소하고 동료 B(49·7급)씨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12일 밝혔다.

A씨는 2011년 2월 25일부터 2012년 11월 19일까지 30차례에 걸쳐 IT업체 대표 C(43)씨로부터 6천182만원을, 2012년 5월 17일 다른 업체 대표 D(50)씨로부터 2천만원을 각각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B씨는 2010년 12월 15일부터 2013년 9월 5일까지 31차례에 걸쳐 C(43)씨로부터 4천128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조사결과 이들은 도의회 전산장비 입찰공고에 특정 업체만 입찰가능한 조건을 담은 ‘규격서’를 제시, 뇌물을 건넨 업체가 낙찰받을 수밖에 없도록 했다.

두 사람은 업체에서 제공한 차명계좌를 통해 주기적으로 뇌물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적으로 한 달에 한 번 이상 수백만원을 월급처럼 뇌물을 받은 셈이다.

검찰은 이들이 업체 대표에게 차량 구매대금을 요구하는 등 노골적으로 뇌물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본인들이 작성해야 할 규격서를 업체가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그대로 반영했다.

업체는 이 규격서에 자신들만 공급할 수 있는 특정 사양을 넣었기 때문에 경쟁 입찰 자체가 불가능했다.

해당 업체는 그 덕에 수년 동안 전산장비 관련 납품을 독점적으로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네트워크 보안장비시스템, IP 전화기, 인터넷 방송 사업 등 전문성이 필요한 사업은 관련 비리를 적발하기 쉽지 않다”며 “업계 관행처럼 뇌물이 오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지난 4월 22일 오전 도의회 해당 부서를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이들을 체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