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범죄자 55%가 이혼 등 혼인 불안정 상태”

“아동학대 범죄자 55%가 이혼 등 혼인 불안정 상태”

입력 2015-05-04 12:11
업데이트 2015-05-04 1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분석

양모(47)씨는 동거남이 지방에 돈을 벌러 내려가자 10대였던 그의 딸 3명의 양육을 떠안게 됐다.

아이들은 양씨를 ‘엄마’라고 부르며 따랐지만, 이들을 고시텔이나 반지하 원룸에 살도록 했다.

동거남이 매달 80만∼300만원의 양육비를 보내왔어도 38만원만 세 자매에게 줬고, 월세를 내고 남은 8만원으로 한 달을 살아야 했던 세 자매는 극심한 영양실조에 시달렸다.

양씨는 자매가 서로 감시하게 시키고 학교도 다니지 못하도록 했다.

바로 2년 전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고양 세 자매 사건’이다.

4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아동학대 혐의로 기소돼 2014년 10월 기준 수감생활을 하는 수형자 65명과 일반 부모 200명을 비교분석한 결과 아동학대를 저지른 수형자는 상대적으로 혼인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 3세부터 고등학생까지 이르는 연령대의 자녀를 둔 일반 부모는 96.5%가 결혼상태였지만 아동학대범죄 수형자는 44.6%만 결혼 상태였다.

수형자는 동거상태가 26.2%, 이혼·별거 상태가 21.5%였다. 미혼이 4.6% 사별은 3.1%였다.

교육수준을 보면 아동학대범죄 수형자 중 대학 이상 학력은 20%였고, 고등학교 졸업이 45%로 가장 많았다. 또 초등학교 졸업 이하도 18.3%, 중학교 졸업은 16.7%였다. 비교 대상인 일반 부모의 81%가 대학 이상 학력자인 것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형정원은 학력수준이 낮은 이런 차이가 유의미한 통계라고 분석했다.

아동학대범죄 수형자는 경제적 수준도 비교 대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일반 부모는 월수입 400만∼600만원이 42.5%로 가장 많았고 200만∼400만원이 36.5%로 뒤를 이었지만, 수형자는 200만∼400만이 56.5%로 가장 많았고 200만원 미만이 34.8%였다.

아동학대 범죄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장소는 피의자의 집(70.8%)이었다.

유형별로는 신체 학대(81.5%)가 가장 많았고, 방임이 16.9%로 뒤를 이었다.

아동학대 도구로는 손과 발 같은 신체가 36.9%로 가장 많았고, 칼과 같은 날카로운 흉기가 15.4%, 몽둥이나 빗자루가 12.3%를 차지했다.

범행 당시 음주상태인 경우는 13.9%에 불과했고 약물을 사용한 경우는 없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