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무상급식 중재안’ 놓고 논란 가열

경남도의회 ‘무상급식 중재안’ 놓고 논란 가열

입력 2015-04-28 11:07
업데이트 2015-04-28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의회 “6일까지 답변달라”…시민단체 “도의회, 중재자 자격 없다”

경남도의회가 무상급식 중단 사태를 해결하고자 제시한 중재안에 대해 다음 달 6일까지 수용 여부를 최종적으로 답변해 달라고 경남도와 경남도교육청에 요청하기로 했다.

이에대해 한 시민단체가 도의회의 중재자 자격을 문제삼으며 자체 중재안을 내놓겠다고 밝혀 논란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김윤근 도의회 의장은 28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오늘 중 이 답변 시한을 (두 기관에) 통보할 생각이다. 마냥 기다릴 순 없다”며 “그 정도 시간이면 고민하고 검토하는 데 충분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5월 6일은 도의회 제326회 임시회(5월 7∼21일)가 열리기 하루 전이다.

김 의장은 “급식 갈등이 장기화하는 것은 두 기관은 물론이고 도민과 학부모, 학생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며 “도와 교육청은 (중재안이) 다소 흡족하지 않더라도 수용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한 달 이상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끊어진 무상급식이 이어질 수 있도록 중재안을 마련했다”며 “중재안에는 교육청의 뜻이 많이 담겨 있다”고 털어놨다.

경남도의회가 학교 무상급식 예산 문제를 둘러싼 경남도와 경남도교육청 간 갈등을 풀고자 지난 21일 중재안을 내놨지만 두 기관은 애초 답변 시한이었던 24일 ‘의견 유보’로 찬성과 반대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경남도는 일선 시·군과 재정 문제를 협의해야 하고, 교육청은 학부모·교육 관련 단체와 토론을 통해 의견을 집약하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도의회는 지난 21일 초등학생은 소득 하위 70%, 중학생은 소득 하위 50%, 고등학생은 군 및 시지역 읍·면 소득 하위 50%와 동지역 저소득층을 무상급식 지원대상으로 한 ‘소득별 선별적 무상급식’ 중재안을 냈다.

이와 관련 사단법인 시민참여정책연구소는 이날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학교 무상급식 중단 사태 등 일련의 과정을 볼 때 도의회는 가해자일뿐이고 중재자로서 자격이 없다”며 “중재는 당사자가 아닌 제3자가 하는 것이 공정하고 정당하며 상식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의회 중재안은 효용이 없으며 폐기돼야 할 의미 없는 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시민참여정책연구소는 학부모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다음 달 초에 새로운 중재안을 마련, 도와 도교육청에 수용하라고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민참여정책연구소는 김해시 봉황동에 사무실이 있으며, 유료 회원 200여 명과 다양한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소는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전자 우편, 문자 메시지, 통화 등 방법으로 7차례에 걸쳐 무상급식 정책과 서민 자녀 교육지원 조례 제정에 대해 시·군의원들의 의견을 물은 뒤 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