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공구 시행착오…일부 신입생들 사복 입고 등교

교복공구 시행착오…일부 신입생들 사복 입고 등교

입력 2015-03-02 14:22
업데이트 2015-03-02 1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납품일정 빠듯한데 납품물량도 초과…학부모 ‘분통’

용인 A중학교 학부모 박모(49)씨는 2일 새 학기 첫날 등교하는 중학교 신입생 둘째 아들을 보며 걱정과 함께 화가 치밀었다.

박씨 아들은 교복이 없어 초등학생 때처럼 사복을 입고 등교할 수밖에 없었다.

교복구매 담당 교사는 “교복을 입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다. 마음 상하지 않게 돌보겠다”고 말했지만 행여 새 학기 새 환경 속에서 놀림이나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섰다.

그동안 학교와 업체 측의 일 처리가 도무지 미덥지 않아 이런 말을 듣고도 안심이 되지 않은 것이다.

A중학교는 지난 1월 신입생 예비소집 때 가정통신문으로 “정부의 교복 안정화 방안에 따라 2015학년부터 모든 국공립학교 학생은 학교에서 교복을 구입한다. 교복 구입대금을 학교에 납부하고 학교에서 선정한 교복업체로부터 교복을 공급받게 된다”고 안내했다.

학부모들은 이를 학교주관 교복구매 의무화로 이해했고 동복(기본세트)값으로 16만4천원을 입금했다. 일정대로라면 지난달 16일 학교를 통해 받아야 했지만 수령일이 한 주 미뤄졌고 수령장소도 학교에서 교복업체로 바뀌었다.

입학을 이틀 앞둔 지난달 28일 업체를 다시 찾았지만 재킷과 조끼만 받을 수 있었다. 이날 이 업체에는 다른 학부모 10여명도 찾아와 항의했다.

이런 혼선은 인근 학교에서도 벌어졌다. 용인 B고등학교 신입생 학부모 이모씨는 “업주와 여러 번 통화한 끝에 겨우 재킷과 체육복, 와이셔츠만 받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씨는 “공동구매 가격이 다른 업체보다 1천∼2천원 싼 정도였는데 교복을 찾으러 두세 번 교복업소를 방문하느라 교통비가 더 든데다 업주의 불친절까지 감수해야 했다”며 “도대체 누구를 위한 공동구매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월상품, 카드할부, 중소업체 등을 통해 구입하면 공동구매보다 더 싸게 살 수 있는데 입학날 때까지 교복을 받지 못한 채 불편과 혼란만을 불러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시행착오는 교육부의 교복가격 안정화 방안에 따라 올해부터 학교주관 교복공동구매 제도가 도입되면서 일어났다. 특히 공동구매 참여비율이 높은 지역이나 학교일수록 혼란이 컸다.

납품업체에서 학생 배정이나 계약 유찰 등으로 일정상 적정한 납품기한(40일)을 확보하지 못한데다 일부에서는 납품 능력을 초과해 물량을 수주했기 때문이다.

경기지역 10개 중고에 공동구매 교복 납품을 맡은 한 업체는 이날까지 약 10%의 교복을 제작하지 못했다.

이 업체 관계자는 “고교 배정결과가 지난달 4일 발표돼 한꺼번에 많은 물량이 몰렸다”며 “늦어도 다음 주까지는 교복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도교육청은 중·고교에 공문을 보내 학교장 재량으로 교복 착용시기를 정하고 미착용 학생들에게 불이익이 없도록 안내했다.

또 신입생 입학 직후에는 교복을 착용하지 않고 1학기 중 하복부터 착용토록 함으로써 구매시기를 늦추는 것을 권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