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고 ‘백수 졸업생’ 13년간 3배 늘어

전문계고 ‘백수 졸업생’ 13년간 3배 늘어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17.1%… 2002년 땐 5.1%

전문계고 졸업생 중 취업자가 13년 만에 처음으로 대학 진학자를 앞질렀다. 하지만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백수 졸업생’의 비율도 같은 기간 3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지난 4월 1일 기준 특성화고·마이스터고·종합고(전문계열) 졸업생의 취업률이 44.2%로, 대학 진학률 38.7%를 5.5% 포인트 앞질렀다고 21일 밝혔다. 이들 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전년(40.9%)보다 3.3% 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대학 진학률은 전년(41.6%)보다 2.9% 포인트 줄었다.

전문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은 2001년 48.4%에 이르렀다. 하지만 2002년 취업률(45.1%)이 대학 진학률(49.8%)에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이후 취업률이 곤두박질을 치면서 2009년 16.7%까지 추락했다가 13년 만에 대학 진학률을 앞질렀다.

교육부는 지난 정부의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사업’을 전문계고 취업률 상승의 요인으로 꼽았다. 마이스터고 지정에 따라 전문계고 전반에 취업률 증가 분위기가 확산된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전국 681개의 특성화고는 과거 실업계고, 전문계고로 불렸던 직업교육 전문고교를 뜻한다. 마이스터고는 ‘기술장인’을 육성하고자 2010년부터 특성화고 가운데 지정하며, 현재 41개교가 있다. 올해 특성화고의 평균 취업률은 45.3%, 마이스터고는 90.6%에 이르렀다. 인문 계열과 전문 계열이 함께 있는 전국 172개 종합고의 평균 취업률이 23.9%에 불과해 전문계고 전체 취업률을 깎아내렸다.

취업도 하지 않고 대학 진학도 하지 않은 이들이 2002년에 비해 3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이들은 2002년 전체의 5.1%에 불과했지만 2009년에는 9.8%로 늘었고 올해는 17.1%로 껑충 뛰었다. 실제로 2002년 백수 졸업생이 1만 1886명이었으나 올해 2만 1743명으로 늘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졸업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9-22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